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hierarchical computational method has been developed and used with finite element method based on dislocation density multiple-slip crystalline formulation to predict how nanoindentation affects behavior in face-centered cubic crystalline aggregates. Using displacement profiles which were obtained from molecular dynamics(MD) nanoindentation simulation, scaling relations based on indentation depths, grain-sizes, and grain aggregate distributions were obtained. These relations then applied to coarsen grains in micros- tructurally based FE formulation which accounts for dislocation density evolution, crystalline structures. This computational regime was validated with a several experimental results related to single gold crystals. This hierarchical model provides a tool to link nanosacle level with a microstructurally based FEM formulation that can be to ascertain inelastic effects such as dislocation density evolution. With the above certainty temperature distribution during the nanoindentation simulation also was investigated along with the different indentation depth.
        4,000원
        2.
        2017.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층모형을 이용하 여 교장・교사수준별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 실태 및 수 준 분석연구 2013’ 데이터를 사용하여 총 192명 교장과 6,377명 교사들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대하여 교장차이에서 설명할 수 있는 변량의 비율은 10%로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활동은 학교교장들 역량에 따라 달라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양성교육기관 유형과 근속기간, 담임여부는 교사들 교내 수업개선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성별과 학교유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학교장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긍정적 견해는 교사들의 ‘교외 수업개선 활동’ 학교 평균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특히 학교장의 해당학교 교사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가 높은 학교 일수록 교사들의 ‘교외 수업개선 노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부적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교장들 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견해’는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유의미하게 영향력을 나 타냈다. 다섯째, 교장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는 교사들의 해당학교 ‘교장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에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여섯째, 학교장의 ‘임용방식’, ‘교육경영목표’ 는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 평균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교사들 의 교내외 교외 수업개선 노력에 있어 교장 간 차이를 설명해 줄 수 있는 교장 수준에서의 영 향요인들이 탐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