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랑어로부터 추출한 histidine 함유 저분자 peptide의 항산화능을 평가한 결과, histidine, 1-methylhistidine, carnosine과 anserine을 포함한 histidine 관련 화합물과 다랑어에서 추출한 histidine 함유 저분자 peptide는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을 지녔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효과 또한 증가하였다. 다랑어 추출물은 2차 이온교환 처리물이 carnosine 과 anserine의 dipeptide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가열처리와 한외여과를 병행한 경우와 이온교환과 한외여과 처리를 한 동결물의 경우 ascorbic acid와 유사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Histidine 함유 dipeptide 중에서 anserine이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며, carnosine은 두 번째로 강한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Dipeptide와 비교하 여 황다랑어, 눈다랑어 추출물이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환원력이 증가하였다. 다랑어 추출물 원육에서의 SOD 유사활성은 약했으나, 가열처리와 한외여과를 병행하였을 때, 황다랑어 눈다랑어 추출물이 농도별로 4.0-19.4%, 5.7-20.6%로 나타났으며, 이온교환과 한외여과를 병행하였을 때, 8.3-27.9%, 5.4-25.0%, 2차 이온교환 처리를 하였을 때, 8.2-29.5%, 8.6-32.1%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Linoleic acid를 기질로 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자동산화의 중간생성물인 과산화물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CM-cellulose의 처리 동결건조물은 ascorbic와 유사하게 지질산화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 내의 pH 변화를 고려하여 pH 1.2, pH 3.0, pH 4.2로 조절하여 아질산염의 소거능을 살펴보았을 때, 황다랑어 추출물의 경우 25.14%, 15.09%, 13.71%, 눈다랑어 추출물은 27.44%, 18,28% 18.09%로 pH 1.2, pH 3.0에서 carnosine과 anserine보다 낮지만 pH 4.2에서 histidine 보다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4,000원
        4.
        200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nickel (Ni) on growth and some tolerance strategies with regard to heavy metal tolerance mechanism was investigated in radish (Raphanus sativus) seedlings. The protective effect of histidine on nickel stress conditions was also monitored. The seedling growth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metal concentrations. The inhibitory effect was more pronounced in the root elongation than in the shoot elongation. Increasing Ni supply showed a progressive increase of Ni concentrations in the roots and shoots. Ni content was higher in the shoots than in the roots. In the presence of nickel, radish exhibited an antioxidative defense mechanism, as evidenced by the elevated malondialdehyde(MDA), showing that nickel is an efficient inducer of lipid peroxidation. Exposure of radish to elevated concentrations of nickel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the proline content. Supplemental histidine in the presence of Ni ameliorated metal-induced growth inhibition and lipid peroxidation. Combinations of Ni and histidine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line in proline content compared with Ni stress alone, indicating that histidine may provide protection against the adverse effect of Ni stress. From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histidine is an efficient chelator by complexing metal ion within the plant and may play a role in nickel tolerance implicated in metal detox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