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hydrological safety assessment on dam facilities was estimated using dam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result and in-depth inspection assessment result and considering climate change scenario. Hydrological safety assessment of the existing dam was performed by calculating the PMP/PMF using the climate change scenario. In this study, it was evaluated hydrological safety assessment of existing dam considering climate change scenario(RCP 8.5).
        2.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hydrological safety vulnerability assessment on dam facilities was estimated using dams'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result and in-depth inspection assessment result and considering climate change scenario. Hydrological safety assessment of the existing dam was performed by calculating the pmp/pmf using the climate change scenario. Using the results,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was used for vulnerability ranking decision on dams, and assessment scores and weights of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considering climate chage were applied as payoff matrix and weight coefficient. In this study, it was evaluated vulnerability ranking that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of existing dam considering climate change.
        3.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hydrological safety vulnerability assessment on dam facilities was estimated using dams'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result and in-depth inspection assessment score and grade.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was used for vulnerability ranking decision on dams', and assessment scores and weights of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were applied as payoff matrix and weight coefficient. It can be available for calculating dam’s vulnerability ranking considered dams' hydrological safety.
        4.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하유류비축기지의 수리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비축기지 내 관측공을 포함한 공동 주변 지하수의 지화학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근거로 광물학적 클로깅의 가능성을 평가하고, 아울러 미생물학적인 클로깅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여 보았다. 물시료들은 대부분 Ca-HCO3에서 Ca-HCO3-SO4 유형에 속하며 물시료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주요 클로깅 유발광물인 방해석은 모든 관측공 및 공동운영수 시료에서 불포화상태로서 탄산염 광물에 대해 침전하지 않는 지화학 환경이다. Fe, Mn은 대부분 낮은 함량을 보이지만 포화지수계산결과에 의하면 대부분 철-산화/수산화 광물에 대해 포화-과포화 상태를 보여주며 높은 용존산소 농도를 보여주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이들에 의한 클로깅의 가능성을 지시한다. 일부 지상 관측공 물시료의 경우에는 철-산화/수산화 광물과 더불어 미세한 열극을 충전할 수 있는 점토광물에 대하여 높은 포화 지수를 보여주어 이들 광물의 침전에 의한 클로깅 가능성을 지시하고 있다. 통계분석 결과, 광물들의 침전/용해 정도는 주로 pH, Eh, DO에 의해 좌우된다. 미생물 분석결과는 대부분의 물시료에서 호기성 미생물과 점액성 세균이 우세하며 황환원세균 등의 혐기성균은 대부분 아주 적거나 검출이 되지 않았다. 클로깅을 유발시키는 미생물로 알려져 있는 점액성 세균은 모든 시료에서 105 CFUs/mL 이하의 값을 나타내고 있지만, 일부 관측공들에서 점액성세균이 우점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는 이들이 클로깅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철 수산화/산화 광물의 침전가능성과 함께 고려하면 클로깅 가능성이 더욱 상승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지하유류비축기지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클로깅 평가와 관련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