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robacterium tumefaciens에 의해 일미벼 품종에 도입하여 많은 형질전환벼를 생산했다. 배발생 캘러스는 hygromycin 저항성 선발마커를 포함한 pCAMBIA1300 벡터를 이용하여 Agrobacterium strain AGL1으로 공동배양하였다. 공동배양 후 50mg/L hygromycin에 저항성을 보이는 형질전환체가 선발되었다. T0 세대 형질전환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PCR과 Southern blot을 통한 외래 유전자의 안정한 삽입을 검정하였다. 형질전환된 벼라인에서 650bp의 HPT 유전자 단편이 나타났다. 그리고 argE의 특이적 priomer를 이용하여 검정한 결과 230bp 단편이 검출되었다. SEM을 이용하여 형태학적 분석을 한 결과 기공 분포와 배열상의 특징에 있어서 형질전환체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기공형태가 불규칙적인 차이를 보여 주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the transgenic plant of rice. We obtained Agrobacterium AGL1 harbaring pCambial 300 vector with HPT gene. We carried out PCR analysis of 22 ea putative transgenic rice to investigate transformed lines. The 3 ea transgenic lines were detected insertion of HPT gene. Transgenic lines selected from PCR analysis were performed by Southern blot. From Southern blot, we obtained that two transgenic lines detected single band. We are going to study the method improving of cotransformation as well as transformation efficiency in r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