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rientia tsutsugamushi 에 의해 발생하는 쯔쯔가무시증은 제3급 법정감염병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설치류에 기생한 털진드기 유충에 의해 주로 매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인균인 O. tsutsugamushi 는 Gilliam, Karp, Kato와 같은 표준 혈청형 외에도 유행하는 국가에 따라 30종 이상의 다양한 혈청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각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우리 연구진은 야생 설치류에 기생하는 털진드기의 O. tsutsugamushi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충남 예산에서 2018년부터 2023년까지 3-4월, 10-11월에 걸쳐 수행하였 다. 총 142마리의 설치류가 포획되었으며, Hanging method로 설치류에서 분리된 털진드기는 총 18,347마리였다. 수거된 털진드기의 샘플 중 1/2은 질병관리청으로 이관하였으며, 나머지 절반을 이용하여 O. tsutsugamushi 감염 여부를 확인한 결과 2018년 5건, 2019년 2건, 2020년 0건, 2021년 9건, 2022년 0건, 2023년 36건이 확인되었으며, 혈청형 분석 결과 Je-cheon 28건, Young-worl 3건, Boryoung 9건, Koto Akita 1건, Gilliam 2건, Karp 9건으로 확인되었 다. 이번 연구를 통해 예산 지역 내 다양한 O. tsutsugamushi 혈청형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지역에 따른 혈청형 차이가 반영된 공중보건학적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2~2017년까지 강원도 3개 시 ‧ 군(춘천시, 강릉시, 횡성군)에서 채집된 모기는 총 6속 13종, 654,362마리가 채집되었다. 채집된 모기는 분류하여 얼룩날개모기속을 제외하고 종별, 채집일, 채집 장소에 따라 최대 50마리를 1개 실험군으로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염기서열 분석방법으로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사하였다. 채집모기 276,224마리에 대해 7,721개 실험군을 검사한 결과 68개 실험군(0.9%)에서 플라비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플라비바이러스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4개 실험군은 일본뇌염바이러스 (Japanese encephalitis virus), 64개 실험군은 차오양바이러스(Chaoyang virus)로 확인되었다. 일본뇌염바이러스는 2012년 춘천시에서 채집 된 2,728마리의 빨간집모기 중 1개 실험군, 2013년 횡성군에서 채집된 19마리의 동양집모기 중 1개 실험군, 2017년 춘천시에서 채집된 1,111마리의 빨간집모기 중 1개 실험군, 강릉시에서 채집된 빨간집모기 724마리 중 1개 실험군에서 검출되었다. 검출된 일본뇌염바이러스의 유전형은 모두 Ⅴ형 바이러스였다. 차오양바이러스는 강원도 내에서 6년간 채집된 금빛숲모기 232,871마리, 5,055개 실험군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63 개 실험군에서 검출되었으며, 춘천지역에서 채집된 빨간집모기 585개 실험군 중 1개 실험군에서 검출되었다. 채집지역별 금빛숲모기의 차오양 바이러스 감염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MIR (최소감염률) 0.32, MLE (최대우도법) 0.33 (CI 0.23~0.46) 감염률을 보인 춘천시였다. 그 뒤로 횡성군 MIR 0.30, MLE 0.30 (CI 0.16~0.52)과 강릉시 MIR 0.21, MLE 0.21 (CI 0.13~0.31)순이었다. 월별 금빛숲모기의 차오양바이러스 감염률은 10월에 MIR 0.38, MLE 0.38 (CI 0.07~1.25)로 가장 높은 감염률을 나타내었다.
        4,200원
        5.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cognize species composition of Anopheline mosquitoes and infection rates of Plasmodium vivax in the northern part of South Korea. Adult mosquitoes were collected at 9 Republic of Korea (ROK) army installations in northern part of Geyonggi Province near the demilitarized zone (DMZ) using black light trap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used to identify collected Anopheline specimens and detect P. vivax from them. During June to August 2016, total 481 anopheline mosquitoe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Anopheles kleini was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56.1%), and followed by An. pullus (16.6%), An. sinensis (16.2%), An. belenrae (7.5%) and An. lesteri (1.5%). 6 pools (4.0%) were positive for P. vivax among 150 pools. The minimum infection rates (MIR) was 1.24. Our ongoing study will provide a meaningful data for the effective malaria elimination strategy.
        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는 rice stripe virus (RSV)의 매개충으로 벼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애멸구의 장·단시형, 암·수, 약·성충에 대한 RSV 보독률과 이병률을 비교하였다. 애멸구의 장·단시형의 RSV 보독률은 각각 60.7%, 63.1%로 크게 차이는 없었다. 암·수에 대한 RSV 보독률은 각각 61.9%, 52.2%로 암컷의 보독률이 더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약·성충의 보독률을 비교한 결과 각각 51.2%, 58.7%로 역시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았다. RSV에 감염된 애멸구에 노출된 건전한 벼의 이병률은 장시형은 53.3%, 단시형은 48.2%를 보였으며, 약·성충의 이병률은 각각 38.2%, 42.6%를 보여 유의성은 없었다. 반면 암컷은 50.5%의 이병률을 보이고 수컷은 22.3%의 이병률을 보여 암컷이 수컷에 비해 22.3% 이병률이 높아 유의성이 있었다. 또한 벼와 애멸구의 RSV 감염여부에 의한 애멸구의 발육기간은 건전한 벼에 RSV 감염 애멸구를 접종 했을 때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전한 벼에 건전한 애멸구를 접종 했을 때 발육기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ield research was undertaken for recovering mosquito larval mermithid parasite, Romanomermis species in rice fields in 54 different areas in period of May through October, 2009. Of 54 area rice fields surveyed, Romanomermis sp. recoveries were made from 4 areas. 32 Anopheles mosquito larvae, malaria disease vector were infected and died from samples collected in Pochon area, and a total of 10 Culex mosquito larvae, house frequenting mosquito were infected to death in 3 different areas, Gimpo, Sangju and Gurae,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positive natural infection record, an intensive host-parasite occurrences and/or population study was surveyed in foci area of Pochon in small pond (P) and Rice paddies (A and B) during 5 months till end of October. The natural mermithid infection was continuously occurred from June through October in weekly samples, however the rate of infection was appeared higher in June-July, thereafter the rate gradually decreased in progress of the season. The highest natural infection rate was observed from the Pond 9.1% followed by Rice paddy "A" 5.2%, Rice paddy "B" 2.4%, respectively. Including 2 other Rice paddies "C" and "D", a total mosquito larvae collected was 3,270, an overall average natural infection rate was recorded as 3.7% (121 Anopheles mosquito larvae inf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