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Korea, many characteristic component facilities and technologies in general experimental areas for non-radiative materials are owned by industry-academia research. Still, no characteristic analysis test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for large, intermediate-level decommissioning waste emitted by neutron irradiation. Since Korea plans to decommission nuclear power plants in 2027, securing analysis technology for intermediate-level decommissioning waste is essential. Accordingl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Decommissioning (KRID) plans to secure an infrastructure (hot cell)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level dismantled waste. Afterward, we intend to stably dispose of the waste generated while decommissioning the current Gori Unit 1/Wolseong Unit 1 using the intermediatelevel dedicated hot cell. It aims to secure high-dose/high-radiation decommissioning waste handling technology through intermediate-level hot cell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supports domestic nucleardecommissioning projects, and secure and validate procedures related to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nuclide analysis of intermediate-level waste. Furthermore, research on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materials is expected to be carried out in cooperation with schools and research institutes.
        2.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에 있어서의 공원녹지의 배치 및 조성은 거주환경의 질적 향상과 환경개선에 효과적인 계획개념으로서 많은 방법론들이 도 시계획 및 광역계획에 추진하고 있다. 그와 더불어 공원녹지의 계 획방법론과 생태학적 기능에 주목한 연구가 선행되어 왔다. 하지만 향후, 도시의 환경개선을 위해 공원녹지를 효과적으로 조성 및 배 치하기 위한 계획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공원녹지가 도시민에게 미 치는 영향 및 효과에 대해 명확히 해야 만 한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 서는 일본의 에도가와구의 두 지구를 대상지로 하여 설문조사를 통 해 얻은 371부의자료를 바탕으로 t검정과 요인분석,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시의 공원녹지에 대한 평가는 주민의 공원 이용에 있어서의 접근성과 질의 향상으로 평가되어 높은 만족도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도시에 있어서 공원녹 지의 양적인 증대보다 가용할 수 있는 자원과의 연계를 고려한 공 원녹지의 효율적 배치를 통해 높은 만족도를 유도하여 공원녹지의 가치를 높이는데 전략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3.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 업무용 건축물들은 대형화 및 고층화됨에 따라서 효율적이고 인텔리전트한 빌딩 관리 환경 지원을 위하여 IT 기반의 건축물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IT기반의 건축물들 중 사무용 특히 전산관련 시설에서는 건축물의 실내바닥에 배선 또는 배관이 대량 집중 설치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에서는 시설의 점검 및 교환 작업 등에 유연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악세스플로어 등이 시공되어지고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공된 바닥 아래에서는 먼지 또는 티끌이 쌓이게 된다. 이는 화재 위험성 및 화재 시 화재확산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으나 이러한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기준 및 화재 확산에 대한 실험적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텔리전트 빌딩에서 야기될 수 있는 화재 위험을 실험을 통해 화재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실제 인텔리전트 빌딩의 성능기반의 화재안전설계가 수행되도록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 분석 자료가 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