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yopsis africana and Pyropia kinositae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on the list of Korean marine algal flora based on integrated morphological-molecular study. Bryopsis africana from Korea is recognized with distinct main axes, robust thalli, pinnately and radially branched above, and basally denuded. Phylogenetic analyses revealed that B. africana was placed within a clade of Bryopsis. Bryopsis africana differs from B. corymbosa by 2.7% gene sequence divergence. Pyropia kinositae is characterized by oblong to lanceolate thalli, entire margin, purplish red in color, twice as long as broad cells in transversal section view. Phylogenetic analyses revealed that P. kinositae was placed within a clade of Pyropia. Pyropia kinositae differs from P. tenera by 1.5-1.8%, P. ishigecola by 1.2-1.3%, and P. yezoensis by 1.5-1.8% gene sequence divergence respectively.
        4,000원
        3.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산만 조간대에서 서식하는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분포패턴을 2007년도에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42종의 해조류가 서식하였으며, 이 중 녹조류 5종, 갈조류 8종, 그리고 홍조류가 29종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Enteromorpha linza, Ulva pertusa, Sargassum thunbergii, Gelidium amansii, G. divaricatum, Corallina pilulifera, Gracilaria textorii, 그리고 Polysiphonia morrowii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점종들은 수직분포가 뚜렷하였는데, 조간대 상부에는 U. pertusa, G. divaricatum가, 중부에는 E. intestinalis, E. linza, S. thunbergii, G. divaricatum이 우점하였다. 한편 하부에는 U. pertusa, Undaria pinnatifida, S. thunbergii, G. amansii, G. divaricatum, C. pilulifera이 주로 출현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출현종수는 계절 및 정점에 따라 변하였다. 겨울에 가장 많은 38종이 출현하였으며, 가을에는 28종으로 가장 적었다. 정점별로는 정점 4, 6에서 가장 많았으며, 정점 1, 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해조류 군집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지도 및 MDS 분석 결과에서는 해조류의 종조성 및 현존량이 각 정점의 지형적인 차이 및 조류, 해수의 움직임과 같은 물리해양학적인 특징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