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약선요리 소비가치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차이점을 검정하고 이를 토대로 시장 세분화 전략을 제시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무작위 표본추출을 통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SPSS Ver.17을 이용해서 신뢰도 분석 및 요인분석, 계층 일반적 특징적 및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기능 영양사회적중시형 의 일반 적 특징은 남자보다는 여자의 선호도가 높고, 연령층 및 학력 전업주부들이 선호하고 있다. 기능영양사회적 중시형 시장 특징은,약선요리를 먹을 때의 행복함과 사회적 관계를 중시하며, 기능적 측면을 고려한 소비계층이다. 무관심형 의 일반적 특징은 여자보다는 남자들이 많으며, 특히 20대 이하 및 학생층에서의 특징이고, 학력별 구분할 수 있는 차이 가 없다. 무관심형의시장 특성은 남자, 20대이하 및 학생층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만큼의 약선요리의 소비가치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능적 중시형 일반적인 특징은 직업별 로 학생층을 제외한 여타의 직업군에서 중시하는 성향을 보인다. 기능적 중시형의 시장특 성은 연령과 직업군에서는 뚜렷한 소비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약선요리에 대한 시장 세분화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세부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의미있는 시사점이 될 것이다.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한 삶에 대한 수요 욕구가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임을 고려해 볼 때, 약선요리의 기능적 특성을 반영한 마케 팅 전략을 수립한다면 새로운 음식문화의 한 장르로 확산발전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lux factor K and its application are discussed in connection to the high amplification events. The effects due to random motions of stars in a foreground galaxy are examined in the frame work of moving caustics of gravitational microlenses.
AUDIT-K(한국형 알코올 중독 간이선별 검사법)을 이용하여 일상적으로 생활하고 있는 상당수의 잠재적인 위험 음주자들을 선별 할 수 있었으며 연령, 종교, 결혼여부, 직업, 소득음주사망 가족력, 음주시작 연령, 흡연, BMI(체질량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학력, 음주기간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을 더 받은 사람의 남성이 알코올 소비가 더 높다고 한 선행연구와 부합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교육수준 또한 무엇을 어떻게 배웠는가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교육에 따른 알코올 소비도 각각 다른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나이가 적을수록 술을 많이 마시면 음주기간이 길어질 것이고 기존의 음주시작 연령에 대한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음주 기간이 알코올 사용 장애의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음주 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음주 시작연령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국가 정부 제도의 대책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