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ptimum culture conditions for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explants of Kalanchoe daigremontiana Hamet &Perrier were established. Shoot regeneration was achieved from leaf explant cultures usin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indole-3-acetic acid (IAA) and thidiazuron (TDZ) or benzyladenine (BA). Percent regeneration was influenced by plant growth regulators and source of explants. MS medium supplemented with TDZ (1.0 mg/l) and IAA (0.4 mg/l) was the most effective, providing shoot regeneration for 76.7 % of ex vitro leaf explants associated with a high number of shoots per explant (9.5 mean shoots per explant), whereas 100% shoot regeneration associated with 12.4 shoots per explant occurred from in vitro leaf explants on the same medium. Clusters of shoots were multiplied and elongated on MS medium containing several concentrations of BA.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25 mg/l BA was proved as the most effective shoot elongation medium. Elongated shoots (2-3 cm) were rooted at 100% on half-strength MS medium. Rooted plantlets were then transferred to potting soil. Regenerated plants were established in the soil with 90% success.
        2.
        199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實驗)은 칼란코에 (Kalanchoe daigremontiana Hamet et Perr.)의 줄기 절편(切片)과 약(葯)을 배양(培養)하여 체세포배(體細胞胚)를 양도(諒導)함에 있어서 여러 식물생장조절물질(植物生長調節物質) 특히. 2,4-D의 효과(效果)를 비교(比較)하고자 실시하였던 바, 두 종류의 절편체에 실시하였던 바, 두 종류의 절편체에 있어서 캘리스 및 체세포배의 유도에 있어 2.4-D는 효과가 없었다. 줄기 절편(切片)으로부터 캘러스의 유도(誘導)는 2,4-D에 비해 IAA와 NAA 첨가(添加)의 경과(境過)에 양호하였으며, 체세포배(體細胞胚)의 유도(誘導)는 배발생(胚發生) 캘러스를 0.1mg/L 1AA와 1.0mg/L BAP 처리구(處理區)인 저농도(低濃度)의 auxin 처리구(處理區)와 식물생장조절물질(植物生長調節物質)이 첨가(添加)되지 않은 배지에 이식(移植)하여 배양(培養)과 경과(境過)에 양호(良好)하였으나. 2,4-D의 처리구(處理區) (0.2-1.0mg/L)에 이식(利殖)하여 배양한 경우에는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약(葯)으로부터 캘러스의 유도(誘導)는, 발달단계별(發達段階別)로는 초기 1핵기에서 그리고, 저온(低溫) 처리는 4℃에서 3일간 전처리(前處理)한 경우(境遇)에 양호(良好)하였고, 2.4-D에 비해 NAA 처리시(處理時)에 양호(良好)하였으며, 그리고 charcoal 처리시(處理時)엔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한편 체세포배(體細胞胚)의 유도(誘導)는 줄기절편에서와 같이 2,4-D처리시에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줄기절편의 경우와는 달리 1.0mg/L NAA와 1.0mg/L BAP 처리구와 2.0mg/L NAA와 0.2mg/L BAP 처리구(處理區)인 고농도(高濃度)의 auxin 처리구(處理區)에서 양호(良好)하여, 줄기 절편과 약에 있어서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에 대한 반응에 차이(差異)가 다소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약유래 식물체의 염색체(染色體)조사결과 대부분이 2n=34이었으며, 소수(小數) (5.4%)가 4배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