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how three task activities with receptive (R) reading, cloze (CZ) and receptive-productive (RP) integration differently lead to L2 idiom recall and retention by Korean EFL adult learners when they are enhanced with bolding, L1 glossing and three repetitions. It further looks into what features of the enhanced input tasks influence L2 idiom gains. The theories of input enhancement, receptive and productive task input are the basis for the present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overall the three tasks contributed to high score of L2 idiom gains in immediate receptive, productive recall and delayed receptive retention, except delayed productive reten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diom recall and retention by the three tasks. The descriptive analysis showed R group performed better on immediate receptive recall, while CZ group led the highest score of immediate productive recall. In terms of retention gap between immediate and delayed tests, the three tasks yielded high percentage of receptive idiom retention. The CZ task yielde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ceptive retention but relatively low percentage of productive retention, while the R group retained most memory of productive knowledge. The results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effective L2 idiom teaching materials using input enhanced tasks such as bolding, L1 glossing and repetition.
        5,800원
        2.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EFL 학습자들이 강화 입력 문맥(enhanced input context) 과업 활동을 통해 분해적 (decomposable) 및 비분해적(non-decomposable) 숙어들을 어떻게 다르게 즉각적 회상(immediate recall) 하고 기억유지(retention)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는 선행연구 등에서 주장하는 분해적 숙어가 비분해적 숙어보다 이해 처리과정에 유리하다는 주장과 이와 관련된 숙어이해 처리과정에 관한 의미적 분해성(semantic compositionality) 의 역할에 대한 견해와 이에 반하는 견해를 논의의 바탕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동사 구절 (동사+관사+명사) 형태를 갖는 12개의 목표숙어 (6 decomposable idioms & 6 non-decomposable idioms)가 선정되었고 학습자들은 강화입력 문맥, 즉 볼드체(bolding) 와 우리말 주석(L1 glossing) 이 있는 목표 숙어들을 보면서 하나의 목표 숙어 당 3개의 문장에 목표 숙어들을 빈 칸에 채워 넣기(cloze production) 를 하며 그 문맥의 의미를 이해하는 과업 활동을 하였다. 결과 분석에 의하면 비록 학습자들은 두 유형의 숙어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높은 비율의 수용적 (receptive) 및 생산적(productive) 단기회상(immediate recall) 과 수용적 장기기억 유지(delayed retention) 를 나타냈지만, 비분해적 숙어가 분해적 숙어보다 수용적, 생산적 단기 회상 및 수용적 장기기억 유지에 있어 현저하게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숙어를 구성하는 단어들의 의미를 추측하여 더 빨리 이해 처리한다는 분해성의 효과에 반하는 결과로써, L2 학습자들이 강화된 입력 문맥의 이해와 함께 목표어를 쓰는 연습(cloze production)을 이용한 과업 활동을 통해 숙어를 연습할 경우 오히려 비분해적 숙어가 하나의 긴 단어처럼 문맥 안에서 그 의미를 더 잘 이해하고 기 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