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궁화 ‘근형’은 2003년 무궁화속 종간교잡 품종으로 꽃 색이 독특하고 개화기간이 긴 ‘七彩(무지개)’(H. syriacus × paramutabilis cv. Shichisai)를 모본으로, 4배체 무궁화로 수세가 강건한 ‘개량단심’(H. syriacus cv. Kaeryangtansim) 을 화분친으로 인공교배 후 양묘된 실생묘로부터 선발되 었다. 2006년 1차 선발 후 형질 안정성 검정을 수행 한 뒤, 2011년 ‘KFRI-SK16’를 최종 선발하여 ‘근형’으로 명명하였다. 해당 품종은 직립형으로 가지가 곧추 서며 연간 신초 길이생장이 평균 64.0cm이고 5년생 삽목묘 평균 수고가 189.2cm에 달하므로 교목형으로 유도하여 가 로수 또는 조경수로 이용하기 적당하다. 전체적인 꽃의 형 태는 깔대기형으로 평균 직경이 108.6mm에 이르는 홍단 심계 홑꽃이며, 꽃잎 길이/너비 비율은 약 1.84로 꽃잎 이 다소 겹치는 I-b형이다. 꽃잎색은 RP65B으로 보라색 이 섞인 분홍색이며, 진한 붉은색의 단심과 단심선이 꽃 잎 길이의 약 3/4까지 매우 넓고 길게 퍼져 있다. 2011년 조사된 개화 시작일은 7월 10일, 개화 종료일은 9월 30일 로 총 개화기간은 82일에 달하였다. 잎의 전체적인 모양 은 다소 긴 형으로 잎몸의 길이/너비 비율은 2.12이며, 엽 병 길이는 12.9mm로 긴 편이다. 잎몸의 열편은 없거나 미 미하고 잎몸 가장자리 물결 정도는 중간으로 결각이 적은 편이다.
        4,000원
        2.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model has been developed to predict natural ventilation in a single zone building with large openings. This study first presents pressure-based equations on natural ventilation, that include the combined effect of wind and thermal buoyancy. Moreover, the concept of neutral pressure level(NPL) is introduced to consider the two-way flow through a large opening. The total pressure differences across the opening and the NPL are calculated, and nonlinear equations are solved to find the zonal pressure to satisfy mass conservation. For this analysis, an iterative technique of successively approximating the zonal pressure is used. The results of applying this study model to several simple cases are as follows. When there is no wind and only the stack effect is caused, a one-way flow occurs in both the top and bottom openings in the case of two openings of equal-area, and a one-way flow occurs in the top opening; however, a two-way flow occurs in the bottom opening in the case of two openings of unequal-area. When there is a wind effect, regardless of whether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lower or higher than the indoor air temperature, air flows into the room through the bottom opening and out of the room through the top opening. As the wind velocity increases, the wind effect appears to be more influential than the stack effect ow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