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mimetic words modifying laughter in Chinese and Korean language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morphology, grammar, semantics and pragmatics. In the first chapter of this paper,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ubject are analyzed, and the corresponding research is carried out in advance. The second chapter is the definition and category advance of Chinese and Korean imitative words. This paper analyzes the morphological, grammatical, semantic and semantic features of the mimetic words modifying laughter in Chinese and Korean. By analyzing the above three chapters, this paper gives the following revelation: First, the modelling words of laughter in Korean are more abundant than in Chinese, so it is more difficult for Chinese learners to learn them. On the contrary, most of these words are derived from the combination of laughter, so we can generalize the meaning of the word and sum up the words containing laughter.Secondly, the mimic words of Korean are different in tone or form, and the meaning and meaning of Chinese language are different in tone or form, so both Chinese and Korean learners should master the morphology and tone characteristics of the modifier words in each other's language. Finally, both Chinese and Korean mimic words that embellish laughter have more or less restrictions on their use, so learners also need to grasp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5,500원
        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놀이와 웃음활동을 인성교육과 접목하여 프로그램을 구안하고자 초등학교 5, 6학 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놀이(규칙놀이 영역, 전통놀이 영역, 보드게임 영역), 웃음활동, 디지털 게임의 실태와 선호도를 설문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선호도는 보드게임 영역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디지털 게임, 규칙놀이 영역, 전통놀이 영역, 웃음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규칙놀이 영역에서는 그룹놀이를 가장 선호했고, 전통놀이 영역에서는 윷놀이를 가장 선호하였다. 보드게 임 영역에서는 7세 이상 대상 2연령의 보드게임을 가장 선호하였고, 디지털 게임은 모바일 게 임을 가장 선호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에게 양질의 놀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학 생들의 놀이 실태를 잘 파악하고 성별에 따라 선호도가 다름을 이해하는 등 놀이의 특성을 고 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