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재래종 대두(Glycine max) 943계통과 강원도 지성 수집종 야생종(G.soja) 50계통을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와 isoelectric focusing 전기영동으로 LAP 동립효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AGE에 의한 Lap1*b는 재래종과 야생종에서 가장 흔한 대립인자였다. Lap1*b의 대립인자 빈도는 한국 야생종(0.94)에서보다 재래종(1.00)에서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재래종 대두는 Lap1 유부자좌에서 Lap1*b 대립인자로 고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IEF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pH 4∼6.5의 gel에서 LAP 동립효소의 band type을 확인한 결과 재래종과 야생종에서 I type과 II type의 band type을 확인하였다. 재래종과 야생종에서 II type이 6계통(7.2%)과 4계통(8.0%)으로 각각 나타났고 I type은 79계통(92.8%)과 46계통(92.0%)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band type이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