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재래종 대두(Glycine max) 943계통과 강원도 지성 수집종 야생종(G.soja) 50계통을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와 isoelectric focusing 전기영동으로 LAP 동립효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AGE에 의한 Lap1*b는 재래종과 야생종에서 가장 흔한 대립인자였다. Lap1*b의 대립인자 빈도는 한국 야생종(0.94)에서보다 재래종(1.00)에서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재래종 대두는 Lap1 유부자좌에서 Lap1*b 대립인자로 고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IEF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pH 4∼6.5의 gel에서 LAP 동립효소의 band type을 확인한 결과 재래종과 야생종에서 I type과 II type의 band type을 확인하였다. 재래종과 야생종에서 II type이 6계통(7.2%)과 4계통(8.0%)으로 각각 나타났고 I type은 79계통(92.8%)과 46계통(92.0%)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band type이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2.
        199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poxygenase는 대두종실에 많이 포함되어 있어 대두의 불포화지방질을 산화시켜 대두 특유의 불쾌한 콩비린내를 나게 함으로서 콩나물을 위시한 많은 대두식품제조공정에서 어려움을 주고 있다. Lipoxygenase에는 L 1, L 2, L 3의 3가지 isozyme가 있는데 그동안 미국과 일본의 학자들에 의해 lipoxygenase 결핍(1 1, 1 2, 1 3)돌연변이 계통이 발견되었고 또 단순 열성 유전 양식임이 밝혀짐으로서 lipoxygenase 문제가 육종차원에서 해결될 수 있는 전망이 보인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래종 집단에서 lipoxygenase isozyme 소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험에서 L 1 결핍계통 KAS 610-3, KAS 621-8이 선발되었으며 lipoxygenase 결핍계통은 일반적으로 소립이고, 지방합량은 낮았으며, 또 본 실험에서 선발된 L 1 결핍 2계통은 특징적으로 콩나방 피해가 컸다. 공시계통수는 적었지만 야생종 대두에서는 lipoxygenase 결핍유전자형이 발견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L 1 및 L 3가 결핍된 4계통이 모두 경남지역의 재래종에 한정된 것으로 미루어 변이투기 역사는 짧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