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농법별 주요 엽채류의 생산단계에서 부터 수확된 농산물의 모의유통과 세척단계까지 동일 개체를 대상으로 미생물상의 변화를 비교하여 단계별 미생물적 안전성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생산 및 유통중 위생지표균 및 식중독 균의 검출량을 조사한 결과 호기성 세균을 제외한 조사대상 미 생물은 발병량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생산단계에서 검출되지 않거나 낮은 수준이었던 위생지표균 및 식중독 균의 검출량은 엽채류의 종류, 재배방법에 관계없이 생산 단계보다 모의유통 중 증가하였으나, 세척단계에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산과정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미생물이 모의유통중 검출된 것은 수확후 처리과정 중 교차오염으로 예상되며, 생산단계에서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던 미생물의 증가는 유통과정 중 증식한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통단계에서는 저온유통시스템의 확대 적용과 운반도구 등에 대한 위생관리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A nematode, which showed entomopathogenicity, was isolated from Exomala orientalis in Korea, and then identified as Rhabditis blumi. Pathogenicity of R. blumi was evaluated against major cruciferous insect pests, including Artogeia rapae, Mamestra brassicae, and Plutella xylostella. In Petri-dish tests, insect mortality was dose and time dependent, which increased with dose (0–80 dauer juveniles/larva) and time increments. In greenhouse tests, P. xylostella larvae were most susceptible to nematodes, with insect reduction rate of 88.0 %. The rate varied with vegetable species and persistence time of live nematodes on vegetable leaves after spraying. The aeration rate was an important parameter for cultivation of the nematode R. blumi. A sufficient DOT level in the culture using an air-lift bioreactor should be maintained. The nematode growth rate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DOT level and/or bacteria uptake rate. The maximum nematode yield of 1.75 x 105 per ml was obtained under an aeration rate of 6 vv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