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 황백화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김 양식장에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양식환경 특성과 황백화 피해 엽체의 형태 및 세포구조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금강 하구역에 위치한 개야도에서는 황백화가 확인되지 않았고 새만금방조제 주변의 도청리, 비안도, 무녀도와 선유도에서 황백화가 발생하였다. 김의 황백화 피해는 2011년 11월, 2014년 4월과 11월에 확인되었으며, 황백화 피해 엽체는 엽체 퇴색과 세포 내 액포 비대가 발생하였 다. 연구기간 동안 황백화는 DIN과 DIP의 농도가 각각 5 μM와 0.4 μM 이하에서 발생하였다. 용존무기질소 (DIN)와 용존무기인 (DIP)의 비를 통해 결핍된 용존무기영양염을 확인한 결과 DIN 결핍은 양식 초기, 낮은 DIP 농도는 양식 말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4,000원
        3.
        199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pH, and UV light on the survival of life-threatening Vibrio vulnificu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5 to 25℃, the numbers of V. vulnificus increased during the 6-day incubation, but outside this range, the survival of V. vulnificus was poor. Incubation between 1 and 10℃ showed that V. vulnificus survived poorly below 10℃. At salinities between 5 and 25ppt, the numbers of V. vulnificus increased or remained unchanged for 6-day. At salinities above this range, the numbers of V. vulnificus decreased. The optimal pH range was 6.5 to 8.0 and outside this range, the survival ratio of V. vulnificus was small. At 15 and 25℃, UV radiation was bactericidal for cultures of V. vulnificus. The counts of V. vulnificus were reduced approximately 10,000-fold after 2h of UV light treatment at both temperatures. Above results show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were effective on the survival of V. vulnificus in th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