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발표된 해양사고 통계에 따르면 해양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는 소폭 감소하였지만, 해양 사고 발생 건수는 2021 ~ 2023년 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해양사고의 예방 및 조치를 위해 정부 기관, 지자체 등에서는 안전 사업 추진 및 CCTV 관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그 중 CCTV 관제 시스템은 야간 환경에서 가시거리 감소, 객체 식별의 어려움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저조도 개선 알고리즘을 활용한 야간 해양 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진행간 저조도 개선 성 능과 실시간 안전 모니터링을 위한 영상 데이터의 처리에 초점을 맞췄다. 총 3가지의 저조도 개선 알고리즘과 2가지의 딥러닝 모델 경량 화 기법을 활용하여 최적의 실시간 저조도 개선 알고리즘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read 알고리즘에 Tensor RT 기법을 적용한 경우 에서 SSIM 0.7, FPS 100을 기록하며 저조도 개선 성능 및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가장 적합한 방안인 것을 입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물질의 원소 분석법 가운데 하나인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 분광법을 이용한 해양 환경 오염을 감시 기술의 적용 가능성 을 제시한다. 제주도 근해에서 채취한 백화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칼슘 원소와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소듐, 칼슘 원소들을 레이저 유도 플라즈 마 분광법을 통해서 검출하였다. 또한 해수에 용해되어 있는 다양한 무기 원소들을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 분광법을 통해서 정량적으로 측정하 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정량화 기법을 제안한다.
Various numerical models that have been developed for marine environments and applied to coastal waters in USA were introduced briefly. Inter alia, with regard to an integrated monitoring and modeling system, the main features and outline of system, the system architecture for data management and representation system, and the incorporation of internet based technology were described.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n integrated system to coastal waters was also presented. The prospective research works to improve the capabilities and to advance the functionality of an integrated monitoring, modeling and management system were suggested to be the instrumentations for various monitoring parameters, the new development and/or advancement of various numerical models, the relevant internet based technologie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