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천남성과에 속하면서도 정유의 함유성분 및 함량이 서로 다른 수창포 정유와 석창포 정유가 토끼 적출장관 운동에 미치는 영향과 차이점, 또 어떠한 작용양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가를 알아보고저 carbachol pilocarpine, histamine 및 barium chloride등과의 상호작용을 비교,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창포 정유와 석창포 정유는 모두 토끼 적출장관 운동을 이완시켰으며,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이완정도는 현저하였고, 장관운동의 이완되는 정도는 두 정유 모두 같은 농도에서는 거의 비슷하였다. 2. ED50에 해당하는 농도는 수창포 정유는 0.0045% 이었고, 석창포 정유는 0.0035%이었다. 3. 수창포 정유와 석창포 정유에 의해 이완된 토끼의 적출장관은 carbachol pilocarpine, barium chloride에 의하여 정유 투여전의 상태로 회복하였으나, histamine에 의해서는 부분적인 회복을 보였다. 4. 수창포 정유와 석창포 정유는 carbachol pilocarpine, histamine 및 barium chloride에 의하여 수축된 토끼의 적출장판을 이완시켰다. 5. 이상의 결과로 보아서 수창포 정유와 석창포 정유는 다같이 향신경성작용 및 향근육성작용에 의해 토끼 적출장관 운동을 이완시킨다고 사료된다.
Choline과 choline esters인 acetylcholine, methacholine, carbachol, bethanechol이 토끼의 적출장관 운동에 미치는 영향과 각 약물의 값을 산출하여 각각 비교를 하였다. Choline은 최대유효농도가 이었으며 은 이었고 값은 2.619이었다. Acetylcholine은 최대유효농도가 이었으며 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은 이었고 값은 5.154이었다. Methacholine은 최대유효농도가 이었으며 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은 이었고 값은 6.045이었다. Carbachol은 최대유효농도가 이었으며 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은 이었고 값은 6.244이었다. Bethanechol은 최대유효농도가 이었으며 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은 이었고 값은 5.480이었다. Choline esters는 토끼의 적출장관 운동에 대하여 수축을 일으켰으며 각 약물의 potency의 순서는 carbachol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고 methacholine, bethanechol, acetylcholine, choline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물에서 얻어지는 정유의 한 성분으로 화학구조가 유사한 anethole, eugenol, isoeugenol, safrole 및 isosafrole이 토끼 적출장관 운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potency를 알아 보고 또 어떤 작용 양식에 의하여 이루어 지는가를 알아보고 carbachol, pilocarpine, barium chloride 및 histamine 등과의 상호작용을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화학구조가 유사한 다섯가지 정유들을 단독 투여하였던 바 각각 억제 정도에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토끼 적출장관 운동을 억제시켰으며 그 potency는 isoeugenol>isosafrole>eugenol>safrole>anethole의 순으로 그 값은 각각 4.22, 4.18, 4.17, 4.15 및 3.82이었다. 2. 실험에 사용한 정유 모두가 carbachol, pilocarpine, barium chloride 및 histamine에 의하여 수축된 장관을 이완시켰다. 3. Anethole에 의하여 이완된 장관은 carbachol, pilocarpine, barium chloride 및 histamine에 의하여 모두 투약전과 같은 상태로 회복하지 못하였으며 eugenol, isoeugenol, safrole 및 isosafrole에 의하여 이완된 장관은 carbachol, pilocarpine 및 barium chloride에 의하여는 투약전의 상태로 회복하였으나 histamine으로는 부분적인 회복을 나타내었다. 4. 이상의 결과로 보아서 실험에 사용한 정유들은 향신경성(neurotropic) 및 향근육성(musculotropic), 양쪽에 작용하여 토끼의 적출장관 운동을 억제시킨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