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레트로 퓨처리즘 영화 포스터의 시각적 요소를 색상, 형태, 타이포그래피, 질감의 네 가지로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1927년부 터 2022년 작품까지 10개의 대표적 사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 징을 보였다. 색상은 네온 톤과 금속적 색감, 강렬한 대비를 통해 미래적 이고 감각적인 시각 경험 제공하였으며, 형태에서는 기하학적 대칭과 비 대칭의 혼합으로 영화의 장르적 특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타이포 그래피는 기계적 서체부터 현대적 디지털 서체까지 진화하며 영화의 메 시지를 전달하고, 질감에서는 금속적 텍스처와 디지털 질감을 활용하여 영화의 세계관과 분위기를 강화하고 있다. 각 시각 요소들은 과거와 미 래, 아날로그와 디지털, 현실과 가상이 공존하는 현대 사회의 특성을 효 과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레트로 퓨처리즘이라는 장르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현대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레트로 퓨처리즘 영화 포스터의 시각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서, 과거의 미래적 상상력과 현대의 기술적 감각을 결합해 독 창적인 디자인 정체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시각 디자인 분야에서 과 거 스타일의 현대적 재해석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적 구조가 거대화되면서 시각표현에 있어 커뮤니케이션과 코드화라는 기호작용은 중요한 연구 분야라 할 수 있다. 디자인은 시각(비주얼)적 측면인 조형 요소와 정보(메시지)적 측면인 표현하는 대상의 논리적 해석을 통해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과 디자인의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영화포스터는 영화와 관객 사이를 이어주는 커뮤니케이션의 교량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불특정 다수에게 공통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체이다. 영화의 함축적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광고에서 표현되는 이미지가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으며 그 대상의 시각화 발상과 의미작용에 대한 사례 분석은 대상의 일반적 표상과 기호과정에 관한 선행연구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영화포스터에 나타난 가면을 대상으로 공통된 의미를 도출하고 영화포스터 표현에 있어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과 전략적인 기의를 만들기 위한 기호작용에 대한 향후 연구의 기초 분석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