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어촌뉴딜 300사업은 300개의 어촌과 어항을 대상으로 하는 복합개발사업으로 낙후된 시설 개선 및 지역특화 자원활용 등 전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촌뉴딜 300사업의 선정평가 항목 별 가중치 결정을 위해 다기준 평가방법인 AHP로 전문 가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평가결과, 상위계층 평가항목은 개발여건 및 기본구상, 사업효과, 사업계획, 사업 시행 및 관리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사업효과 항목은 가이드라인에서 6점으로 낮은 배점이었지만, AHP 결과 15.57점의 배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항목별 가중치는 향후 어촌어항 개발사업 평가항목 배점 선정에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logical and policy justification for the feasibil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project through analysis of economic ripple effects of the fishing village new deal 300 project. To do this, we applied the industry-related analysis, which is mainly used to analyze the economic ripple effects, to the fishing village new deal 300 project. The industry association analysis classifies the detailed project of the preliminary plan for the selection of the business into the software business such as the hardware business and the capacity enhancement in the construction field and analyzes the economic ripple effect through the inter-industry association.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fishing village new deal 300 project will have a positive economic impact. When the total investment of 3 trillion won is invested in the project, it is estimated that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and the value added effect are 5,545.3 billion won and 2,102.7 billion won, respectively. In addition, 62,005 get job inducements, where 10,952 employment inducements were associated with job creation. The analysis of the above impacts seems to have secured the logical justific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fishing village new deal 300 project.
        4,600원
        3.
        202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urbanization has become a serious issue, as there is imbalance between regions and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occur intensively in cities. Therefore, cities all over the world are promoting the Green New Deal and trying to realize carbon neutrality. Accordingly, the European Union is leading the creation of carbon-neutral cities by promoting policies aimed at rapidly realizing carbon neutrality. In Korea, projects such as U-City and Smart City have also been promoted continuously for many years, and recently, the projects Smart Green City and Carbon Neutral Green City have been introduc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riv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projects based on policies to address climate change by analyzing the guidelines for the Smart Green City project and the project plans of Gimhae-si and Gangjin-gun, which are the leading projects in the Smart Green City business model and are equipped with an extensive budget.
        4.
        202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limate change has recently become a serious global issue, and carbon emissions and energy consumption are increasing, particularly in cities where economic activities and populations are concentrated. Accordingly, various countries worldwide are promoting the Green New Deal and promoting urban-centered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ies with the aim of carbon neutrality. In Korea, following the “smart green city” project that creates a city where humans and the environment coexist, a similar “carbon neutral green city” policy is set to be introduced. Therefore, in this stud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sustainable introduction of the carbon neutral green city policy will be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ate and Tribal Assistance Grants of the U.S. bipartisan infrastructure law and the smart green city of the Korean new deal.
        5.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몇 년 사이 한국에서는 도시재생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해 양적성장의 도시정책에서 질적 성숙의 도시정책으로의 전환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지속가능한 도시의 기능을 도입하고자함으로써 지역의 관리 및 운영이라는 중요한 이슈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질적 성숙의 도시정책으로서 평택시 도시재생전략계획에 따른 신평지구 도시재생활성화 지역에 대하여 역세권 기능회복을 위해 참여디자인을 통한 신평지구 도시재생 활성화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신평지구 도시재생사업은 인간중심의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지역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강조하며, 지역자산 활용 및 지자체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피력한다. 또한, 종합적인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효과와 문제점 등 성과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도시재생 활성화에 있어서 참여디자인은 도시 내 사회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방안으로 올바른 도시재생사업의 수행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각종 보고서 및 문헌 조사와 설문지 방법을 접목한 사례 연구이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재생 사업의 종합적 추진방안과 지속적인 관리체계의 기반이 될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