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hole plant com fertilized with or without nitrogenous fertilizer during its growth was harvested at milk matured stage for silages. The lactic acid bacteria inoculants Lactobacillus>6×10¹? cfu/g, Pediococcus>2×10¹? cfu/g) was used at 0.01 g/㎏ of fresh matter. Cellulase (CF) (concluding cellulase, acremmoocium and trichioderma) was used at 0.033 g/㎏ of fresh matter. And the mixture of lactobacillus and enzyme (LF+CF) were used respectively 0.01 g/㎏ and 0.033 g/㎏ of fresh matter. After 45 days, when the silages had been made, opened to air and sampling for the analysis of nitrate contents and nitrite contents at 0, 1, 3, 6 and 10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itrate content of fertilized com silages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unfertilized com silages significantly at the beginning of opening the silages. As the day's extension, the nitrate content of all silages trended to decline. For the fertilized com silages, the nitrate content of untreated silages higher (p<0.05) than that of treated silages and declined sharply throughout the process. This phenomenon appeared from 3 day point to 10 day point for treated silages. For unfertilized com silag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ntreated silages and treated silages at 0 day point. The nitrate content of untreated silages sharply declined from 0 day to 10 day point, which of treated silages began at 3 day point. From above, we can conclude that nitrogenous fertilizers can affect the nitrate content of com silages, and adding LAB and enzyme can retard the nitrate transforming into nitrite.
        2.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질산태 질소의 공급수준이 알팔파의 영양생장기 동안의 질소동화와 성장 및 재생기간 동안의 뿌리조직내 전분과 질소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0.2, 1.0 및 3.0 mM KN 하에서 10주 동안의 영양생장 후 건물 및 질소 화합물의 식물조직내의 분포를 분석하고, 24일간 1차 및 2차 재생을 각각 시킨 후 뿌리조직에 축적된 전분과 질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10간의 영양생장 후 건물과 질소화합물의 함량을 1.0 mM 처리구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4,000원
        3.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질소비료의 다용(多用)이 사초내의 질산염 함량, 강우에 의한 사초내의 질산염 함량, 그리고 하루 중 사초내의 질산염 함량의 차이를 조사하여 반추가축의 질산염 중독 발생 예방과 적정 질소시비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단그라스계 교잡종 중 Xtragraze II 1번초를 공시하여 1995년 6월부터 9월까지 익산대학 동물사육장 시험포에서 실시하였다. 시비수준은 ha당 연간 질소 200kg, 400kg 및 600kg으로 하고, 인산과 칼리비료는 200kg씩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질산태질소 함량은 생육시기의 진전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200kg구에서는 신장기초까지, 그리고 400kg 이상에서는 전생육기간 동안 중독위험수준을 초과하였다. 강우 후 사초의 질산태질소 함량은 성장기에는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생육말기나 출수기 이후에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사초의 하루 중 질산태질소 함량은 오전이 오후보다 비교적 더 높은 경향이었다. 질산염중독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질소시비수준은 200 k g ⋅ N / h a / y e a r 이하로 나타났다.
        4,000원
        4.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periments were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dynamics of uptake at low temperature with forage rape(Bmssica napus), barle(Hordeum vulgare) and winter rye (Scale cereale). A net uptake and the contents of nitrogenous compound in tissues at low tempe
        4,000원
        5.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on the nitrate accumulation in Italian ryegrass. Italian ryegrass was grown at the experimental field, College of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from Se
        4,000원
        6.
        198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류의 한발저항성 반응과 정도 그리고 저항생리적 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발아후 10일된 유묘기(본엽 3매시)에 8일간 단수처리를 하여 질산환원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변화 그리고 proline축적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품종의 평균 감소율은 질산환원효소의 활성이 42%이였으며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은 73%였으며, 이에 반하여 proline은 대조구에 비하여 단수구가 무려 10배나 증가하였다. 2. 질산환원효소의 활성감소율을 맥종별로 보면 소맥 < 호맥 < 대맥 < 2조대맥ㆍ과맥의 순으로 소맥이 가장 낮았다. 3.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감소율을 맥종별로 보면 소맥 < 호맥 < 이조대맥 < 대맥 < 과맥의 순으로 소맥이 높고 과맥이 가장 낮았다. 4. 단수구의 proline의 축적색대량을 맥종별로 보면 소맥 < 대맥 < 호맥 < 과맥 < 이조대맥의 순으로 소맥과 대맥이 높았으며, 대조구에 대한 단수구의 증가비는 호맥(13배) > 소맥ㆍ대맥(11배) > 과맥(9배) > 이조대맥(7배)의 순으로 호맥이 가장 높았다. 5. 한발저항성 과정에서 효소적 및 생리적 대사작용의 관점에서 볼 때 소맥 > 호맥 > 대맥 > 과맥 > 이조대맥의 순으로 한발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