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free radical reactions in lung of living mice using an in vivo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meter and nitroxyl radical as a probe. When an aqueous solution of nitroxyl probe was trans-tracheally administered into lung of living mice, a sharp triplet signal was observed at the chest of the mice. The signal showed a gradual decrease with time, obeying first-order kinetics. Signal decay rates of carbamoyl-PROXYL and carboxy-2,2,6,6-tetramethyl-piperidine-N-oxyl were faster than those of CAT-1 and carboxy-PROXYL. The mechanism of signal decay may be attributed to (i) reaction with reactive oxygen species such as ·OH, (ii) transfer into blood circulation, or (iii) reduction by compounds continuously supplied.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learance mechanism of the nitroxyl probe in lung. To evaluate the disappearance of the ESR signal of the nitroxyl probe in lung, in vivo ESR spectra in chest of mice was recorded after trans-tracheal administration of an aqueous high concentrate solution of nitroxyl probe. A broad signal from the chest was observed immediately after administration due to Heisenberg spin exchange interaction. A sharp triplet signal was superimposed on the broad signal and the appearance of a triplet signal was followed by disappearance of the broad one. Peak-to-peak line width of the sharp signal was almost the same as that after intravenous administration. A distinct signal was detected in blood collected 10 min after trans-tracheal administration of nitroxyl probe. The observations indicate the transfer from lung to blood circulation and its contribution to clearance of probe in lung. Appearance of a sharp signal in blood after trans-tracheal administration was dependent on the kind of nitroxyl probe, showing a different transfer rate from lung to blood.
        4,000원
        2.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는 신체에서 가장 크고 육중한 기관 중 하나로 인간의 생리 및 병리 과정에 참여한다. 피부는 자기 유지 및 치유, 기계적 및 화학적 손상 방어, 자외선 과 외부 병원성 미생물로부터의 방어, 비타민 D 합성 그리고 사회 심리적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여성의 부위와 연령에 따라 피부 생물학 인자와 연관된 생물리학 인자의 변화를 평가하는 데 있다. 20 ∼ 49세의 약 70명의 건강한 성인 여성이 이 실험에 참여 하였다. 측정부위는 하박 내측과 뺨으로 진행하였다. 인체 피부의 생물리학 인자를 측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피부의 생물학 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코티졸, 파이브로넥틴, 케라틴-1, 10, 11, 인보루크린, 케라틴 6를 인체의 얼굴과 하박내측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비침습적 방법으로 피부 생물리학 인자는 피부 부위와 연령에 따른 차이를 측정하였다. 측정 부위에 따른 결과, 각질층 수분량, 경피수분손실량과 피부색(L과 a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결과, 오직 피부색에서만 연령에 따른 차이가 유의 적으로 나타났다. 코티졸, 케라틴-6, 파이브로넥틴, 케라틴-1, 10, 11 은 연령과 부위간 유의적 차이가 없지만 인볼루크린은 30 ∼ 39세 연령대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의 피부 환경에 대한 상세한 피부 상태 변화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