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donata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global scale. Their distribution and abundance influenc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where they habit. Therefore, their distribution patterns reflect the differences of their habitat condition.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Odonata in korean streams by considering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geographical, landscape, hydrological, and water quality factors. Species Ischmura asiatica, Cercion calamorum, and Onychogomphus ringens displayed the highest abundance and occurrence frequency in the dataset. Among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ltitude was the most contributing factors on the distribution of Odonata species, and the species richness was higher at low land than at high land.
        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내 15개 인공연못의 조성연도와 연못 면적에 따른 잠자리 군집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잠자리는 총 6과 36종이었으며, 잠자리과가 19종으로 가장 많았다. 출현빈도와 밀도를 고려하여 상대적 중요치를 측정한 결과, 아시아실잠자리와 밀잠자리가 가장 높았으며, 큰청실잠자리, 애기좀잠자리, 먹줄왕잠자리 등 16종은 상대적으로 희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년수에 따라 우점종은 1~3년는 아시아실잠자리, 4~6년는 된장잠자리-밀잠자리-고추좀잠자리, 10년 이상은 방울실잠자리-아시아실잠자리로 나타나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조성연도와 종다양성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10년 이상이 지난 군집의 종다양성지수는 1~3년된 연못보다 높았다. 산란유형은 분산분석결과 10년 이상 된 인공연못이 식물 내 산란 종수와 타니산란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연못면적이 넓을수록 종다양성지수는 증가하였으며, 잠자리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인공연못조성면적은 100~300㎡내외로 판단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