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tiation of leukemia cells into mature cells is a major target of the human leukemia therapy. As differentiated leukemia cells lose their proliferative and tumor-forming abilities, differentiation inducers may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leukemia. In this study, the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diallyl disulfide (DADS) regulates expressions of tumor suppressor protein PTEN (phosphatase and tension homologue) in HL- 60 cells. DADS causes upregulation of PTEN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which was correlated with decrease of phospho-Akt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DS induces upregulation of PTEN in human leukemia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DS may be a useful anticancer agent for management of human leukemia.
The tumor suppressor gene, phosphate and tensin homologue(PTEN) has been shown to dephosphorylate th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PI 3-K)-generated phosphatidylinositol(3-5)-triphosphate in vivo, thus interfering with the potentially oncogenic signals emanating from PI 3-K. Promoter hypermethylation of CpG islands has recently been shown to be an epigenetic change resulting in loss of function in some genes involved in cell cycle regulation and DNA repair. Immunohistochemal staining for monoclonal antibody 6H2.1 was performed from paraffin embedded blocks of 20 benign epithelial lesions and 40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s(HNSCCs). Immunoreactivity was graded semiquantitatively by considering the percentage and intensity of the staining of the tumor cells. Also,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PTEN methylation in benign epithelial lesions(24 cases) and HNSCCs(44 cases of paraffin embedded blocks, 4 cases of frozen tissues) using methylation-specific PCR(MSP). In HNSCCs, immunoreactive scores of stage 1 and 2(12 cases, average score 85.2) were higher than those of stage 3 and 4(15 cases, 41.9)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7). Immunoreactive scores of moderate and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s(22 cases, 61.6) are more or less lower than those of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15 cases, 87.0) but not significant(P=0.361). Among 24 cases of benign epithelial lesions, 12 cases showed unmethylated PTEN but none methylated. In HNSCCs, 22 of 44 paraffin embedded blocks showed unmethylated PTEN but none methylated, and all 4 frozen tissue revealed unmethylated PTEN, one of which(25%) methylated. We consider that the loss of PTEN protein expression may be associated with the progression of HNSCCs and the other alteration rather than methylation may be important in the inactivation of PTEN in HNSCCs.
Phosphatase and tens in homologue(PTEN) 은 phosphatidylinosi t이 3'-kinase에 대해서 빈대로 작용함으로써 세 포픽 애 있는 지질 잔류인 phosphatidyl i nosi tol (3 - 5) - tri - phophate(PIP-3) 를 탈인산화시켜서 세포증삭의 자극에 대 한 막수용체의 반응을 조절하는 종앙억 제유전자이다 CpG islan ds의 promoter 메틸화가 세 포주기 의 조젤 이나 DNA 복구외 관런된 유진자 기 능을 소실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에서 p16INK4a, p14ARF, p15‘ D뻐-K, E-Cadhe rin‘ GST-P. hMLH1의 메틸화가 보고되어 있다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에서 10번 염색체의 소실 이나 장완의 번이기 관칠되었으며. 이러한 유전적 변이의 배경에 PTEN 유전자가 있다 본 연구는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에서의 PTEN의 떼틸회 빈도와 단백발한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Methylation-specific PCR(MSP) 로 파라핀 포매조직 ( 양성 싱피증식성 병 소 25 이l. 두경부 편평 세 포암 종 44 예) 과 동결절편조직(두경부 떤평 세포암종 4 예)에 대해 PTEN의 메틸화 빈도를 확인하였다 양성 상피 증식 성 벙 소 20 예.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40예의 파라핀 포매조직을 이용하여 PTEN 단클론항체인 6H21을 이용하여 변역 조직화학 엽색을 시행 하였다 염색강도와 염색된 부위의 백분율을 곱하여 반정량적으로 점수화하였으며 조직학적 동급 벙기외 임상적 변수애 따 라 분류하여 연역염색의 정수를 비교하였다 양성 상피증식성 병소 25 예 중 13예에서 메틸화되지 않은 PTEN을 보였으니 nl1 틸 화된 예는 없었다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의 경우 파라핀 포매조직 44예 중 22 예에서 매 틸화되지 않은 PTEN 을 보였으니 때 틸화된 예는 없었으며 4예의 동결절편조직 중 한 예에서 PTEN promoter부위의 베 틸화를 보였다 양성 상피 증식 성 병소와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의 면역조직화학 염색 평균점수는 각각 69 1과 705 였다 편평세포암종의 경우 임싱 적 벙기 를 1기와 271 를 하나의 군(12 예. 평균점수 852) 으로 3기와 471 를 다른 군 (15예‘ 41 , 9) 으로 분류하여 비 교하았을 때 통제학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P=0 .017) 편평세포암종의 조직학적 분화도에 따라 고분화암종(15 예 87 , 0) 과 중둥도분회 및 저분화암종 (22 예. 61 . 6) 으로 분류하였을 때 분화가 좋지 않을 수록 평균점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혁적으로 유의힌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P=O , 361)‘ 환자의 나이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 PTEN 단백 발현은 두경부 떤평 세 포임 종의 생 불 학적 행태 및 조직학적 둥급과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발임과정에서 prEN의 페 틸화는 관련성이 적 을 것으로 보이며, PTEN의 다른 유전적 맨이가 발암과정에 중요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