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4.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nitrogen level on growth and yield potential of newly bred heavy panicle japonica rice with large grain (Iksan 435 and Iksan 438) or many spikelets per panicle(HR14022-21-8-4 and HR14022-21-8-6), four heavy panicle type rices and two many panicle type rices(Dongjinbyeo and Donganbyeo) as the checks were planted under standard planting density (30~times 15 cm) and dense planting density (15~times 15 cm) with two nitrogen levels of standard nitrogen level(110 kg h a-1 ) and heavy nitrogen level(165 kg h a-1 ). Effective tiller rate decreased in dense planting or heavy nitrogen, when compared to standard nitrogen and planting, while leaf area index and to dry weight increased in dense planting or heavy nitrogen. Tiller numbers and panicle numbers were more increased by dense planting than heavy nitrogen, whereas spikelet numbers were more increased by heavy nitrogen than dense planting. Ripened grain ratio was slightly lower only in dense planting. 1,000 grain weight in brown ri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dense planting or heavy nitrogen. Milled rice yield was highest in heavy nitrogen with standard planting for heavy panicle type rice, while yield for many panicle type rice was highest in heavy nitrogen with dense planting, suggesting that many panicle type rice possesses higher adapt-ability for dense planting than heavy panicle type rice. Path coefficient analysis revealed that top dry weight, spikelet number and grain weight were the greatest positive contributors to yield, whereas tiller number was negative to yield.d.
        5.
        199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벼의 수량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초형으로서 소얼ㆍ수중형품종이 잠재수량성을 다얼ㆍ수수형품종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1988년에 수행되었다. 공시품종은 소얼ㆍ수중형인 1R25588과 다얼ㆍ수수형인 IR58이었으며, 이들은 분얼능력과 이삭의 크기는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나 다른 특성은 비슷하였다. 1. 소비조건(질소 0 '||'&'||'amp; 100kg / ha)에서는 재식밀도에 관계없이 IR255888과 IR58 사이에 수량차이가 없었으나, 다비밀식조건(질소, 150 '||'&'||'amp; 200kg / ha, 재식거리 10 10cm)에서는 소얼ㆍ수중형인 IR2588이 다얼ㆍ수수형인 IR58보다 유의적으로 수량이 많았다. 최고수량은 질소 150kg /ha, 재식밀도 10 10cm 그리고 주당묘수 2묘식 처리구에서 나타났으며 IR255888과 IR58이 각각 7.10과 6.60 t /ha이었다. 이는 소얼ㆍ수중형인 IR255888이 다얼ㆍ수수형인 IR58보다 수량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벼의 잠재수량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이상적인 초형이 '소얼ㆍ강간ㆍ수중형'이라는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2. 다비밀식 상태에서 IR255888이 IR58보다 높은 수량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주로 소얼ㆍ수중형 초형인 IR255888의 수당영화수 IR58보다 많았기 때문이었다. 3. 단위면적당 수수는 IR58이 IR255888보다 많았고 수당영화수는 IR255888이 IR58보다 많았는데, 수량을 가장 잘 나타내는 단위면적당 영화수는 IR2588이 IR58보다 많았다. 4. 임실비율은 두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느+CY42나, 천립중은 IR255888이 IR58보다 무거웠다. 5. IR255888과 IR58간에 엽면적지수는 서로 비슷하였으나 총건물 생산량은 특히 다비밀식 상태에서 IR255888이 IR58보다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분얼당 엽면적과 건물중은 IR255888이 IR58 보다 월등히 많았는데, 이는 많은 sink(수당영화수)를 채울수 있는 source로서 광합성 작용과 동화산물의 축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6. IR255888과 IR58 모두 분얼당 엽면적 및 건물중은 수당영화수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소얼성품종의 상관관계가 다얼성품종보다 높았다. 또한, IR255888에서는 분얼당 엽면적 및 건물중이 천립중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IR58에서는 관계가 없었다. 7. 수량을 감소시키는 요인 중에 하나인 주내경쟁 정도는 소얼성품종이 다얼품종보다 적었다. 또한, 다비밀도 상태에서는 다수확을 위한 주당 묘수가 적정 재식밀도에서의 주당 묘수보다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