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s by preventing the burnout through an analysis of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team efficacy and resilien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football players' perceived autonomy support and burnou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23 professional football players belonging to the K-League by a questionnaire survey. As survey instrument, autonomy support, burnout, team efficacy, and resilience test were emplo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applying the phantom variable in the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 using bootstrapping. Results: First, Autonomy support was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Second, Autonomy suppo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eam efficacy. Third, Autonomy support was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urnout. Fourth, Resilience was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burnout. Fifth, Team efficacy was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burnout. Sixth,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burnou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eam efficacy on burnout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When athletes with high self-efficacy and a strong belief in their ability to overcome challenges come together to form a team, they are likely to better overcome external stimuli and prevent burnout.
        2.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방사선사의 업무소진과 업무자율성이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 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방사선사의 업무소진과 업무자율성 및 이직의사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는 전체적 인 업무소진은 3.15점을 보여 방사선사의 업무소진은 보통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자율성에서는 2.88점 으로 업무에 대한 자율성이 보통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이직의사에서는 3.30점으로 이직하려는 경향이 높은 쪽 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정서적 소진, 일에 대한 흥미상실, 일에 대한 열의상실이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사가 방사선검사와 관련하여 자신의 전문지식과 판단을 근거로 방사선 업 무를 수행하고, 업무상 의사결정을 충분히 가질 수 있으면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진다면, 방사 선사의 업무소진은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업무의 자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게 될 때, 이직의 사를 줄이면서 방사선 인력관리 및 방사선사의 질적인 면을 향상시켜, 병원 조직 내에서 방사선사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