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umber of significant issues on many welding processes are often connected to high productivity and manufacturability at low costs. The research on welding processes in the literature has reported several research activities, but there is still scope for improvement in most industrial settings. The primary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best super-TIG welding settings to use for groove welding. First, in order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risks associated with them, concepts and frameworks of quality by design (QbD) which is a new standard in pharmaceutical area in order to improve drug qualities were integrated into this process optimization. Second, stepwise experimental design approaches including a factorial design as well as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ere customized and performed for this specific automated super-TIG welding process. Third, based on experimental design results,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with both design space (i.e., acceptable range of operating conditions) and safe operating space (i.e., safe range of operating conditions) were obtained. Finally, a case study including QbD steps, stepwise experimental design approaches, design and operating spaces, the optimal factor settings, and their association validation results was conducted for verification purposes.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단일대상연구 논문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질적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이 연구는 문헌연구로써, 분석 대상은 2002년부터 2011년까지 게재된 31편 단일대상연구 논문이었고, 이들 논문을 연구 방법의 내용과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내용을 분석한 결과, 종속 변수는 행동변화가 가장 많았고, 상지기능, 시지각 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는 아동과 성인 및 노인이 비슷하였다. 아동 대상자는 뇌성마비와 자폐증이 가장 많았고, 성인 및 노인 대상자는 뇌졸중이 가장 많았다. 설계 형태는 반전 설계가 가장 많았으며 유지 및 일반화보고 비율은 높지 않았다.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31편의 논문 중 4편이 높은 수준이고 나머지는 중간 정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연구가 대상자와 환경에 대한 충분한 기술, 독립 변수에 대한 조작적정의, 분석 시 표준적 그래프를 제시하고 있었고, 종속 변수의 조작적 정의, 설계 방법에 대한 기술과 정확한적용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재 블라인드를 수행한 연구는 없었으며 측정자 신뢰도를 측정한 연구는 적었다. 또한 각 구간의 적절한 수의 데이터를 수집한 연구와 중재 효과의 적절한 반복을 시행한 연구, 적절한 시각적 분석을 수행한 연구의 비율은 낮았다. 결론 : 이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분야 단일대상연구의 내용과 질적 수준을 파악할 수 있었고, 추후 작업치료 분야의 단일대상연구를 통한 근거 기반의 접근을 위해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