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운동학습에서 실험적 연구를 통한 무작위 연습의 효과가 파지검사와 전이검사에서 입증되고 있지만 스포츠 현장에 적용되어 연구된 사례는 제한적이다. 맥락간섭의 효과가 스포츠 현장에 적용되어 연구되고 일반화된 분야로는 라이플 사격, 배드민턴 서브, 배구기술, 카약의 롤 기술, 스노우보드 기술, 그리고 야구기술 등이 있다. 본 연구는 맥락간섭의 효과가 골프의 퍼팅기술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골프의 퍼팅은 지속적으로 정확한 수행을 요구하는 동작으로 골프 경기의 점수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또한, 골프의 퍼팅은 수행시마다 조건이 다른 수행간의 가변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골퍼들은 분단적 연습이라고 불리는 형식의 방법으로 퍼팅연습을 하고 있기 때문에 분단적 연습 보다는 무작위 연습이 더 효과적이라는 가정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다양한 운동경험과 관련한 피험자의 숙련도가 퍼팅의 분단적 연습과 무작위 연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여보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의 퍼팅수행에 무작위 연습이 학습효과가 있는지와 피험자의 숙련도가 다양한 연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32명의 피험자를 다음과 같은 네 개의 실험집단에 무작위로 배정하여 실시하였다; 1) 분단적 연습의 숙련자 집단, 2) 분단적 연습의 초보자 집단, 3) 무작위 연습의 숙련자 집단, 4) 무작위 연습의 초보자 집단, 종속변인에는 항상오차, 절대오차, 그리고 가변오차가 사용되었다. 모든 피험자는 3개의 분단으로 나뉜 54회의 연습과 6회의 파지검사와 전이검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디자인은 2(연습방법) X 2(숙련정도) X 3(분단 횟수)이고 마지막 요인에 반복설계된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파지단계와 전이단계는 2(연습방법) X 2(숙련정도)의 디자인으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무작위 연습의 피험자가 연습의 단계에는 낮은 수행을 보였지만 파지검사에서는 높은 수행을 보여 맥락간섭의 효과가 골프의 퍼팅 연습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숙련자 집단이 초보자 집단에 비하여 모든 단계(연습, 파지, 전이)의 수행에서 더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여 숙련자의 효과적인 적응성을 보였지만 연습방법과의 상호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퍼팅의 과제에서 무작위 연습의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이 결과는 골프의 퍼팅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무작위 연습의 방법이 활용되어야 함을 제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