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물과 지방의 신호가 동 위상에 있을 때와 역 위상에 있을 때의 신호를 독자적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물 소거 영상과 지방 소거 영상을 제공하는 mDixon기법은 지방소거 영상에서 균일한 영상을 제공하며, 금속물에 의한 인공물을 줄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mDixon 기법을 통해 영상화 된 T2 영상과 T2 FS(지방소거) 영상에 대한 영상 비교를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추 자기공명 영상검사에서 mDixon 기법이 기존의 T2 TSE, T2 SPIR 영상과 비교하여 Scan Time, L3 body(요추 체), Back fat(등 지방), Spinal cord, CSF의 SNR과 CNR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1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Lower Back Pain으로 요추 자기공명 영상검사를 위해 내원한 성인 30명(남22, 여8, 평균연령 46.1±16.37, 평균 BMI 22.9±3.2)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장비는 Philips사의 Achieva Release 3.0 T와 Spine 전용코일을 이용하였으며, 요추 시상면 mDixon 검사와 T2 TSE, T2 SPIR 검사를 하였다. 검사 시 mDixon과 T2 TSE, T2 SPIR검사는 SNR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TR, TE, TSE factor, FOV, Matrix, Thickness, NSA)를 고정하였고, 이에 따른 Scan time을 비교하였다. 검사한 영상은 세 번째 요추를 가로 기준선으로 L3 Body, Back fat, Spinal cord, CSF에 대해 각각 20mm²의 원형 ROI를 설정하여 신호강도를 측정하였고, SNR과 L3 Body-Back fat의 CNR, Spinal cord와 CSF의 CNR값을 구하였다. 각각의 SNR, CNR 값은 대응표본 t-검정(SPSS win 18.0)을 통해 분석하였고, 0.05이하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으로 보았다. 결 과 : mDixon의 Scan time은 1분 55초, T2 TSE는 1분 00초, T2 SPIR는 1분 00초였다. mDixon T2영상은 T2 TSE 영상보다 L3 body에서 SNR이 높았고, back fat과 CSF에서는 SNR이 낮았으며(p<0.05) Spinal cord에서는 비슷한 SNR을 가졌다(p>0.05). L3 body와 back fat의 CNR은 mDixon T2영상이 높았으며, CSF와 Spinal cord의 CNR은 T2 TSE가 높았다(p<0.05). mDixon T2 FS영상은 T2 SPIR영상 보다 L3 body, back fat에서 낮았고, Spinal cord, CSF에서는 높았다(p<0.05). L3 body와 back fat의 CNR은 mDixon T2 FS영상이 높았으며(p<0.05), CSF와 Spinal cord의 CNR은 두 영상이 차이가 없었다(p>0.05). 결 론 : 결론적으로 LBP환자의 요추 시상면 자기공명 영상검사에서 mDixon 기법이 기존의 T2 TSE, T2 SPIR 기법에 비해 Scan time, 각 부위의 SNR, CNR에서 보다 우수한 영상이라 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순 LBP환자를 대상으로 제한하였다는 한계로, 기존의 연구에서 보고된 특정 환자군의 설정(금속물 삽입, 척추 종양, 골절 환자 등)을 통한 추가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Cancer 환자 Thin Slice Thickness 검사는 병변 조직의 경계면을 찾는데 매우 유용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으로는 T1 SPIR Axial Double Stacks 검사를 본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T1 SPIR Axial Single Stack 검사와 비교하여 Cancer 조직 Thin Slice Thickness 검사 시 유용한 검사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1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1일까지 본원을 방문한 Cancer 환자 중 2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용장비는 MR Systems Achieva Release 3,2,2,0(Philips Medical System)와 NV-16 Head Coil, Spine-15 Coil을 사용하였다. 검사 방법은 Gadolinium 조영제를 사용한 MR검사 프로토콜(FOV 220×150, TR 450ms, TE 10ms, Number of Slices 4, Thickness 2mm, Gap 2mm)중 동일한 Stack를 추가한 T1 SPIR Axial Double Stacks는 T1 SPIR Axial Single Stack(FOV 220×150, TR 450ms, TE 10ms, Number of Slices 8, Thickness 2mm, Gap 0mm)와 비교 측정하였고, T1 SPIR Axial Double Stacks는 Ang. AP, RL, FH를 0°로 맞추었으며, 첫 번째 Stack의 Gap 2mm 위치에 두 번째 Stack의 Thickness 2mm를 위치시켜 Gap 0mm가 되도록 좌표를 조절하였다. 정량적 측정방법으로는 획득한 영상을 Cancer Lesion과 Normal Lesion으로 나누어 평균 SNR을 측정하였으며, 영상에서 Background ROI를 설정한 후 각 조직 신호강도의 표준편차(SD)로 산출하여 평균 CNR을 측정하였다. 정성적 측정방법은 각 영상을 영상의학과 판독 전문의 1명과 경력 10년 이상 방사선사 3명이 선예도, 대조도, 병변 조직의 경계면 선명도 등 3가지 항목을 평균점수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통계분석으로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로 검증하였다(p<0.05). 결 과 : 정량적 측정결과 병변 조직의 경계면 SNR은 T1 SPIR Axial Double Stacks가 63.14, T1 SPIR Axial Single Stack 45.17 보다 17.97로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CNR 측정결과는 T1 SPIR Axial Double Stacks가 35.55, T1 SPIR Axial Single Stack 21.32 보다 14.23 더 높게 측정되었다. 정성적 측정결과 T1 SPIR Axial Double Stacks는 선예도 3.40, 대조도 3.32, 병변 조직의 경계면 선명도 3.45, T1 SPIR Axial Single Stack은 선예도 2.95, 대조도 3.12, 병변 조직의 경계면 선명도 2.97로 T1 SPIR Axial Double Stacks가 3가지 항목 모두에서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결 론 : T1 SPIR Axial Double Stacks(Number of Slices 4×2 Stacks)를 이용한 Thin Slice Thickness 검사는 기존의 T1 SPIR Axial Single Stack(Number of Slices 8×1 Stack)과 비교 측정 시 Scan Time은 같았으며, 정량적 측정결과 평균 SNR과 CNR 모두 Cancer 병변 조직의 경계면을 명확히 나타내었다(p<0.05). 정성적 측정결과에서도 대조도와 선예도, 병변 조직의 경계면 선명도 등 3가지 평가항목에서 우수한 결과로 측정되었다. 제한사항으로는 Stack을 추가 시 Gap과 Thickness의 크기는 같아야 하며, Crosstalk Artifact가 발생되지 않도록 좌표 조절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이 있었다. 혈관을 가지고 있는 Cancer 조직 확인을 위한 Thin Slice Thickness 검사 시 T1 SPIR Axial Double Stacks 검사는 Cancer 환자에 있어서 정확한 영상을 제공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