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광은 필수적인 환경조건이 다. 겨울철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일사량이 저조하므로 보광 처리를 이용해 작물의 생육과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약광기 동안 고추 온실재배를 위한 경제적인 보광 광 원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풋고추(Capsicum annuum ‘Super Cheongyang’)는 2019년 9월 5일에 정식하였다. 보광 처리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 수행되었 다. White LED(R:G:B = 5:3:2, W LED), RB LED(red:blue = 7:3, RB LED), 고압나트륨등(high pressure sodium lamp, HPS)을 광원으로 사용하였다. 무처리를 대조구로 사용하였 다. 고추의 초장, SPAD, 마디 수는 보광 광원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분지 수는 RB LED 광원에서 가장 많 았다. 또한 보광은 고추의 광합성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RB LED에서 보광기간 동안 가장 높은 광합성률을 보였다. 또한 고추의 수확량은 보광처리에서 증가하였고, RB LED는 다른 광원에 비해 가장 높은 수확량을 보였다. 소비전력은 W LED 가 가장 높았고 HPS 조명이 가장 낮았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RB LED를 이용한 보광처리는 다른 광원에 비해 높은 경제성 을 가졌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고추 온실에서 약광기 동안 보광 광원으로 RB LED를 사용하는 것이 수확량과 경제 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메리카왕거저리의 사육기간을 단축과 기능성 향상을 위해 밀기울에 다양한 먹이를 보조사료로 공급하여 발륙기 간과 무게를 측정한 결과, 먹이종류별 아메리카왕거저리의 발육기간은 조단백질함량이 많은 배합사료와 밀기울에서 80.8일과 75.6일로 가장 짧았으며 버섯배지는 160일이상 소요되었으며 왕겨의 생충율은 85%로 가장 낮아 버섯폐배지 와 왕겨는 먹이원으로 적절하지 않았다. 보조 먹이원 선발을 위해 할맥, 압맥, 배추, 백련초, 파프리카, 개똥쑥을 20~80% 밀기울에 첨가한 결과 압맥과 할맥은 정상적으로 생장하지만 백련초, 개똥쑥 혼합에서는 접종 직후부터 죽은 개체들이 출현하여 생충율이 12.9%, 10.8%로 아주 낮게 나타났으며 배추와 파프리카도 24.2~38.8%로 낮아 보조사료로 적합하지 않았다. 들깨와 콩가루 역시 생충율이 높지 않아 1, 2차 시험결과 할맥, 압맥과 메밀이 보조사료로 적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