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타이완 가오슝의 보얼예술특구를 중심으로, 유휴공간의 문화예술적 재 생전략과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보얼예술특구는 과거 항만창고였던 공간을 문화예술 중심지로 전환하면서 민관협력, 지역주민의 참여, 정책적 지원, 국제적 네트워크 구 축 등 복합적 전략을 통해 공간 또는 도시재생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 구는 문헌고찰, 현지조사, 이해관계자 인터뷰를 바탕으로, 특구의 공간재생 과정에서 채택된 주요 전략과 정책 요인을 분석하고, 공간 전환이 지역사회에 미친 사회적·문 화적 영향, 그리고 타도시 재생 모델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특구는 역사적 유 산을 현대적 문화콘텐츠로 재해석하여 도시 브랜드를 강화하고, 주민참여를 통해 지 속가능한 지역 문화생태계를 조성했으며, 국제교류를 통해 글로벌 예술 허브로서 자 리매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례는 유사한 도시재생 프로젝트에서 역사 성, 참여성, 국제성을 결합한 다층적 전략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향후 동아시아 도시 재생 담론과 실천에 유용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100원
        2.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and POE of Jungja(pavilion) shelter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14 Jungja shelter space at rural villages in Gyungbuk province, were investigated. An interview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otal 139 residents as POE. The use behavior and satisfaction for Jungja shelter space, were investigated.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mean of satisfaction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nd discussions can be objective data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In satisfaction level, ‘Continuous use intention’(3.99), ‘Well-suited approach’(3.87), and ‘Helpful in resident living’(3.84) were shown to be high points of agreement in 5 point Likert type scale. But, the mean points were low as 2.01 in ‘Surrounding landscape’, ‘Creation of green areas’(3.22), and ‘Traffic safety’(3.22), respectively. Within use satisfaction, 5 factors were categorized, ‘Use’, ‘Safety’, ‘Facility’, ‘Management’ and ‘Users’. By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variables of ‘Continuous use’, ‘Convenient location’, and ‘Image improvement’, were shown to be main affecting variables to overall satisfaction. Furthermore, in spatial structure analysis, 4 types were categorized with the aspect of landform, roads, and location in village. The levels of satisfaction were shown to be high in village type of semi-open, road type of circular, and location type of center/back. Conclusively, these findings could be utilized as basic data and useful tool of space-structural satisfaction analytic method, and for each stage of planning/design and remodeling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