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는 사회 갈등 뉴스의 선정성이 시청자의 정서 반응, 인지 반응, 뉴스 평가, 사회 갈등 지각 등 네 가지 의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사회 갈등에 대한 사전 지식과 태도 등을 통제하기 위해 네 개의 해외 갈등 이슈(유럽 난민 갈등, 미국 에너지 갈등, 중국 농민공 갈등, 이집트 종교 갈등)를 선택하였고, 각 이슈를 선정적으로 보도한 뉴스와 선정적이지 않게 보도한 뉴스를 선정하여 두 개의 실험 조건을 만들었다. 피험자 중 한 집 단은 선정성이 높은 사회 갈등 뉴스를 시청하였고, 다른 한 집단은 선정성이 낮은 사회 갈등 뉴스를 시청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갈등 뉴스는 본질적으로 부정적인 분위기를 가지고 있기 마련이지만 여기에 선정성이 더해 지면 시청자의 부정적 감정을 방향(극성)과 강도(각성)의 모든 측면에서 강화시킬 수 있다. 둘째, 사회 갈 등 뉴스에 선정성을 더하면 뉴스가 전달하는 세부적인 정보에 대한 기억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다. 셋째, 사회 갈등 뉴스의 선정성과 뉴스에 대한 신뢰성 및 흥미성 평가는 모두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선정성이 강화되면 뉴스 신뢰도는 하락하고 흥미성이 증가할 것이라는 일반의 통념과 배치된다. 넷째, 동일한 사회갈등이라도 뉴스가 자극적으로 보도하면, 시청자들은 그 갈등을 더 해결하기 어렵고, 복 잡하고, 강렬하고, 심각한 것으로 인식한다.
        4,500원
        2.
        2014.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리】외국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학습 동기는 학습을 하는 과정에 있어서 즐거움을 얻으며 호기심을 가지고 다소 어려운 문제에 부딪히더 라도 학습을 오래도록 지속시켜 줄 수 있는 추진력을 제공한다. 이에 학 습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는 점에서 한국어 수업에 영상 매체를 활용하고 있는데 특히, TV 뉴스는 우리 주변이나 세계에서 발생 하고 있는 여러 사건 사고들에 대한 정보를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보 여줄 뿐만 아니라 뉴스에서 사용하는 언어 표현은 간결하고도 쉬우면서 논리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어 교육 자료로 꾸준히 사용되어져 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TV 뉴스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 및 어휘력 향상을 위하여 TV 뉴스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