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2.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
        3.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tacit knowledge sharing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The transmission of Tacit Knowledge is crucial for organizations to ensure that TK will be passed throughout organization, rather than stored in single employe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study investigate organizational,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on TK sharing. To test hypothesizes, the survey method was chosen. Sample size was 100 but 74% of questioners returned. Results -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related to influence of personal, social cultural and behavioral factors on tacit knowledge sharing. According to extracted data all factors have influence on tacit knowledge sharing except Emotional stability that was found to be negatively related to tacit knowledge sharing. That may means anxiety and stress level of workplace applies negative enhance on tacit knowledge sharing. And finally results show that social environment, team oriented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strongest influences on tacit knowledge sharing.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s that personal, social cultural and behavioral factors influence on tacit knowledge sharing. And also indicates that, soci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enhance strongly on tacit knowledge sharing.
        4.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축구선수의 묵시적지식을 개념화할 목적으로 국내 축구전문가 8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면담 결과 수집된 자료의 녹취록을 작성해 응답의 의미와 내용을 분류하고 응답 내용을 귀납적으로 요약해 자료를 창출하였다. 연구 결과 축구선수의 묵시적지식은 지식 자체에 국한되는 개인적인 차원과 묵시적지식의 적용 장(場)인 환경적 차원으로 접근해야 한다. 우선 개인적인 차원에서 묵시적지식은 체력, 기술, 심리, 전술운용의 네 가지 영역으로 요약된다. 체력적 요구에 주목한다면 몸싸움에 밀리지 않고 체력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능력과 더불어, 스피드와 민첩성, 협응성 등의 세부적인 체력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공을 안정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상태에서 다양한 기술을 고르게 숙달하는 것보다 자신에게 강점이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심리적으로 자신감, 자기관리, 집중력 등이 바탕을 이루고 이러한 바탕 위에 의욕과 투지, 승부욕이 유기적으로 작용하면서 능동성과 낙관성이 중요하다. 전술운용과 관련해서는 생각하는 플레이, 창의력, 순간판단력 등을 경기 상황에서 요구된다. 묵시적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토대가 되는 지도자와 동료 등의 환경적 차원 역시 중요하다. 이러한 개인적 조건과 환경적 조건을 종합했을 때 축구에서 개인에게 요구되는 묵시적지식은 개인적 차원의 조건을 하나 이상을 가지고 태어나, 훈련을 통해 부족한 요인을 보완하는 동시에 자신의 장점을 살려줄 수 있는 포메이션을 채용하고 포지션을 부여해주는 지도자를 만나야 한다. 묵시적지식과 관련해 전술이나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상대적 선수평가기준이 적용되는 종목이 있기 때문에 선수의 성장과 관련한 접근에서 절대적 판단기준과 상대적 판단기준을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