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계층구조분석(AHP)을 적용한 운동발달평가 도구의 상대적 중요도를 제시하는 초기 연구로서 5-6세 남자 아동을 위한 대근운동발달 검사의 운동기술 요소 및 운동기술을 구성하는 수행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 세부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쌍대비교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Expert Choice 2000 및 Microsoft Office Excel 2007을 활용하여 일관성 검증을 통해 신뢰도와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근운동발달검사지 대분류의 상대적 중요도는 이동기술(0.527)이 물체조작 기술(0.473)보다 다소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근운동발달 검사를 구성하는 이동기술에 있어서 상대적 중요도는 달리기(0.238), 홉(0.208), 슬라이드(0.165), 갤롭(0.152), 립(0.133), 제자리 멀리뛰기(0.103)의 상대적 중요도를 보였으며 물체조작 기술의 상대적 중요도는 받기(0.259), 오버핸드 던지기(0.234), 차기(0.183), 제자리 드리블(0.139), 언더핸드 던지기(0.093), 놓인 공치기(0.092)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끝으로 대근운동발달 검사지 전체항목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받기 항목의 `공을 받기 위해 팔을 공이 오는 방향으로 뻗는다`, 달리기 항목의 `양발 모두 지면에서 떨어지는 비행구간이 있다`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놓인 공치기 항목의 `주로 사용하는 손이 사용하지 않는 손 위에 있다`, `우타자 위치에 있는 아동의 왼쪽 어깨가 가상의 토스하는 사람을 향해 있다`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운동발달 현장에서 5-6세 남자 아동의 대근운동 능력을 검사할 시 수행기준의 가중치를 반영한 세분화된 검사결과를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