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루돌프 라반(Rudolf Laban, 1879-1958) 움직임 이론의 원천으로 고려되는‘움직임 공 간’의 안무학적 특성과 이것의 의미를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둔다. 신체와 공간의 상호작용으로 생성되는 움직임 공간은 라반이 움직임의 본질에 접근하기 위해 천착했던 핵심적인 주제이다. 라반은 움직임 공간을 연구하는데 관념적이거나 형이상학적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경험적 (experiential)이고 과학적으로 접근한다. 즉 인간 행위로서 무용의 다각적 관점을 제공하는 기하 학, 심리학 및 조형예술과 음악이론을 통해 학문적으로 접근했을 뿐 아니라 실제 무용 현장 및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인간 움직임을 관찰하고 채취하여 이론의 근거로 삼았다. 이처럼 움직임 연구의 실제와 이론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안무학적 연구라고 하며 라반의 움직 임 이론은 이러한 안무학적 관점에서 조명될 수 있다. 최근 무용의 연구에서는 라반의 이론을 근거로 체계화된 연구 도구로써 라반 움직임 분석 (Laban Movement Analysis, LMA), 라바노테이션(Labanotation) 등이 교육, 안무, 무용치료 및 공학 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적용되고 있으나, 라반의 이론을 다양한 시각에서 재조명하거나 이론의 원천 및 본질에 대한 접근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과거에 구축된 라반의 이론으로 동시대의 무용을 읽어내고 움직임 탐구에 보다 본질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라반의 사유를 관통하는 움직임 공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무학적 관점을 통해 라반의 ‘공간조화(Space Harmony)’ 이론의 학문적 배경과 주요 개념을 고찰하여 그의 이 론의 핵심을 이루는 움직임 공간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이며, 안무 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공간조화 이론을 재구성하고 구성요소들을 구조와 특질로 분류했다. 그리고 이를 종합적으로 논의하여 다음과 같이 움직임 공간의 안무학적 특성 네 가지를 발견했 다. 첫째, 움직임 공간의 결정체(Crystalline form)로부터 비롯되는 기하학적 특성, 둘째, 움직임이 공간상에 남기는 흔적 형태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 셋째, 움직임의 에포트와 공간적 긴장에 근거한 역동적 특성, 마지막으로 움직임 구성 요소의 조화로운 관계에서 나타나는 상호관계적 특성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비춰봤을 때, 움직임 공간에 관한 안무학적 연구는 무용의 핵심 매체인 움 직임의 본질적인 논의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무용연구에 보다 구체적이고 과학적인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또한, 안무학에서는 예술로서의 무용 뿐 아니라 일반적인 움직임까지 폭 넓게 다루어지므로 움직임을 주제로 하는 다양한 학문의 영역에서 체계적인 움직임 연구의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가 무용의 과학적 연구를 위한 유용한 틀을 제공하고, 나아가 타학문 및 예술의 영역에서도 움직임과 공간에 관한 연구에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6,000원
        2.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relationship of mind and body is an essential proposition in western philosophy, and it is also an ancient topic in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Especially, Taoism pays more attention to it. "Mind and Body depend on each other" is the theoretical basis for Taoism, and they indicate that the spirit of man is resulted from Tao and man is a unity of body ,qi and spirit." Body and spirit in one is live; body and spirit apart is dead ".Actually, Leibniz' s Theory of Pre-established Harmony has a few similarities with Taoist idea. Leibniz asserts that God creates Monad from possibHlty to reality. The Monad can be divided into entelechy, soul and mind by clear degrees of perception. Body and mind agree with each other in virtue of pre-established harmony which is decreed by God. Taoism and Leibniz both consider holistic and procedural of body and mind. Whereas the difference is that Leibniz emphasizes autonomy and grace of pre-established harmony. Taoism focus on practice which could become an immortal, thus Taoist idea about body and spiri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on western philosophy of mind and body.
        3.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색채계획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은 감성에 맞는 색상들을 추천해 주거나 조화론 및 배색사전을 기계화하여 조화색을 추천하는 반자동 보조 시스템을 일컫는다. 본 논문은 조화색 추천 과정에 관한 것이며, 조화색 추천의 보편적 지식개입을 위하여 Ostwald 색채 조화론을 채택하였다. 채택된 조화이론의 적용 공간인 Ostwald의 색체계는 MPEG-7 HMMD 색공간과 일치한다는 가정아래, Ostwald의 동일 색상면과 호환이 가능한 가상의 HMMD 공간을 제작하였다. 두 색공간이 호환하기위한 선행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가정을 세우고 가정에 맞는 가상의 색공간을 제안하였다. 또한 Ostwald의 동일 색상 평면이 갖는 양자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동일 색상 평면을 구성하여 이용자에게 선택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제안한 가상의 HMMD 공간에서 Ostwald의 색채 조화론을 규칙기반화한 다양한 조화색을 추천할 수 있다.
        4,200원
        4.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국내 문화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시각적 디자인 요소도 선호하는 바가 달라지고 있다. 식물 또한 선호하는 식물의 종류가 변화고 있다. 이러한 현대인들이 선호하는 식물 중 미적으로 관상가치가 높은 무늬 관엽식물의 색채와 색채조화미를 분석하여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무늬 관엽식물의 색채 트랜드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색채측정은 색측기 (X-rite Eye-One Xtreme iO bundle)를 사용하여 색을 측정하였다. 색채조화미 평가는 문&스펜서와 먼셀조화론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먼셀조화론에서는 Diffenbachia ‘Marianne’가 가장 조화로웠다. 그 외에 Epiprenum aureum ‘Golden Queen’, Caladium ‘Pink Beauty’, Sansevieria trifasciata ‘Laurentii’, Aglaonema ‘Silver King’, Begonia rex, Peperomia sandersii, Calathea macoyana, Alocasia amazonica, Calathea insignis 순으로 색채 조화미가 높게 나타났다. 문&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서는 가장 미도가 높은 식물로 Caladium ‘Pink Beauty’, 다음으로는, Diffenbachia ‘Marianne’, Epiprenum aureum ‘Golden Queen’, Peperomia sandersii, Alocasis amazonica, Sansevieria trifasciata ‘Lurentii’, Calathea macoyana, Begonia rex, Calathea insignis, Aglaonema ‘Silver King’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두 조화론에서 조화미가 높았던 무늬 관엽식물의 색채는 yellow green과 green색상으로 좀 더 자연에 가까운 색상 배색이 더 조화롭게 분석되었다. 또한 명확한 색조 차이를 보이는 배색을 보였고 grayish한 색채보다는 채도가 뚜렷한 색채로 배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