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는 소득수준에 따라 개발도상국을 그룹화하고 이들에게 차등 적으로 공적개발원조를 배분함으로써 개발 격차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2002년 수원국 목록에 150개국이 존재했던 것에 비해, 2021년 수원국 목록에서 벗어난 국가는 단 8개국에 불과하다. 이는 대부 분의 수원국이 여전히 개발이 필요한 상태로 정체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 한다. 원조의 효과에 관한 다수의 연구에 따르면 수원국의 발전 정도에 따라 원조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공 여국 입장에서 어떤 수원국에게 원조를 더 많이 배분하는가에 집중한 기 존 연구와 다르게, 본 연구는 수원국 입장에서 어떤 분야의 원조가 경제 성장에 효과적인지, 그리고 그 효과가 수원국의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점이 차별적이다. 분석 결과, 최빈국과 중 상위소득국 모두 사회 인프라 및 서비스(100) 원조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지만, 다 부문(400) 원조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원국의 소득수준에 따라 경제성장에 미치는 원조의 효과와 원조의 분야가 상이함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학 술적·정책적 함의가 있다.
자기공명 관절 조영술(Shoulder MR Arthrography)는 견관절(Shoulder joint) 의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에 관하여 정확한 영상평가를 진단하기 위해 시행 한다. 우리는 어께 상완골(Shoulder humerus) 의 다양한 position인 Neutralposition, Internal rotation position, External rotation position 에 관하여 Shoulder joint의 해부학 적인 회전 변화가견관절 자기공명(Shoulder MRI) 영상에 어떤 진단적 결과를 가져오는가에 대해 상호 비교 하였다. 또한 환자의 정확한 촬영자세 유지를 위해 촬영 보조기구를 만들었다. 이 보조기구는 Modeling 설계에 의해 우리가 직접 제작한 자기공명 견관절 조영술 보조 기구이다. 이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촬영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Externalrotation position 에 의한 Shoulder MRArthrography 검사가 Shoulder joint의 중요 해부학적 구조인 Biceps tendon,Supera-spiatus tendon, Sub-scapularis tendon, Labrum, Sub-acromial space 의 해부학적 평가에서 제일 적합하다는 진단적 평가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