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최대근력형과 근지구력형 저항운동이 총운동량과 혈액점도 및 적혈구용적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저항운동 경력 12개월 이상의 20대 남성 15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 전 벤치프레스 1RM을 측정하였으며, 조건 별 실험은 1주일간의 간격을 두고 교차배분하여 6세트 씩 최대반복수행 하였다. 그 결과 총운동량은 근지구력강도가 최대근력강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p<.001), 혈액점도와 적혈구용적률은 총운동량에 관계없이 운동 전보다 운동 후에 높아졌다(p<.01). 종합 하면 혈액점도는 운동강도와 운동량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일회성 저항운동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저항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있어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으며 혈관질환에 관련된 임상환 자들의 운동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있어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blood flow at microvascular network. The role of the blood viscosity and the yield stress of blood on the flow at the microvascular network was examined to find the condition of hemostasis. When the yield stress was less than 0.005Pa, there was no stagnant region in the capillary network used in the study. However, when the yield stress increased to 0.05Pa, stagnant areas began to appear, which grew and expanded rapidly with further increase in the yield stress. From the blood viscosity profile of a patient, one can estimate the yield stress of blood, from which the risk of hemostasis can be determined.
        4,000원
        3.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위궤양에 대한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의 효과를 관찰하고자 시행되었다. 실험동물로는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 48마리를 사용하였며, 대조군(CO)과 3개의 투여군(E-1, E-2, E-3)으로 나누어 1996년 7월 29일부 1996년 8월 25일까지 4주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Opuntia dillenii Saw.(선인장)는 1일 1회 경구투여하였으며, 각각 30 mg/kg BW(E-1) 및 120 Mg/kg BW(E-3)의 농도를 투여하였다. 결과느 s다음과 같다. 1. 체육은 전 군에 걸쳐서 고르게 증가되었으며, 특히 실험시작 후 13일째 체중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4. Alcian bule staining을 통한 위점액량 산출 결과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전 농도에서 점액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군 E-1군은 유의하게 높았고(p<0.05), 실험군 E-2의 경우 그 증가가 현저하였다(p<0.01). 이로서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가 위의 점액생성을 촉진시키거나 위에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서 위궤양 발생저하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5. shear rate 11.25, 45.0, 90.0 및 225.0 sec^(-1)에서 전혈점도 및 혈장점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shear rate에서 C군>E-3군>E-1군>E-2군의 경향성을 보였다. E-1(30 mg/kg BW)군의 전혈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shear rate 11.25, 45.0 sec^(-1)에서는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shear rate 90.0, 225.0 sec^(-1)에서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E-2(60 mg/kg BW)군의 전혈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E-3(120 mg/kg BW)군의 전혈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shear rate 11.25 sec^(-1)에서 매우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p<0.01), shear rate 45.0, 225.0 sec^(-1)에서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5). 동일한 shear rate에서의 혈장점도는, E-1(30 mg/kg BW)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shear rate 90.0 sec^(-1)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E-2(60 mg/kg BW)군의 혈장점도는 대조군에 비해 shear rate 90.0, 225.0 sec^(-1)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E-3(120 mg/kg BW)군은 대조군에 비해 전 shear rate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가 스트레스하에서 발생하는 위의 미세혈관 협류흐름장애를 개선시켜 위게양 발생저하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6. 전 실험군의 위를 조사한 결과 출혈을 동바한 궤양이 형성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서 궤양의 면적과 깊이가 다소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7. 위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한 결과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을 투여한 실험군에 비하여 대조군의 궤양이 매우 심함을 관찰할 수 있었고, E-2군의 경우 궤양이 경미한 정도였다. 8. 위궤양의 지표로 사용한 pH, 위점액량, 전혈점도, 혈장점도, 조직병리학적소견 등을 종합한 결과,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항궤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료양의 2배를 투여한 E-2(60 mg/kg BW)군에서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