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에서 프레임 디자인 작품의 교육과 적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 체계 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 부 산, 대구, 경기, 광주에 장식된 프레임 디자인 작품 120개를 대상으로 동사적 표현기법의 적용실태와 기법 간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25개 이상의 작품(20.8%)에 사용된 기법에는 세우기(44.2%), 연결하기(42.5%), 둘 러싸기(28.3%), 묶기(27.5%), 덧씌우기(20.8%), 엮기 (20.8%), 교차시키기(20.8%), 조립하기(20.8%)가 있었 다. 작품 당 사용된 동사적 표현기법의 수는 42.5%의 작품에서는 5-7개가, 31.7%의 작품에서는 2-4개가, 23.3% 작품에서는 8-10개가, 2.5% 작품에서는 11-13 개가 사용되었다. 작품에 적용된 기법 중 빈도수가 높 은 세우기, 연결하기, 교차시키기, 묶기, 덧씌우기, 감 싸기는 서로 간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프레 임 디자인을 이용한 작품 제작이나 교육 등을 위해서 는 이들 기법들을 우선적으로 익혀야 될 것으로 생각 된다.
다발체형성 제조기술을 이용하여 심하게 인발가공된 Cu-Nb 미세복합재료 전선의 전기적 특성과 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 변화와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다발체형성과 인발공정에 의해 제조된 전선에서 Nb필라멘트 단면방향의 형태는 직선이거나 약간 굽은 형태로 나타났다 Nb필라멘트 형태의 차이는 고온에서의 다발체형성 제조공정중의 Nb필라멘트의 파손과 실린더화에 의해 발생하였다. Cu-Nb 미세복합재료의 비저항은 Cu-Nb 계면에서의 전자 산란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400˚C의 어닐링온도 이하에서 전도도의 감소는 침상형태 석출물의 정합변형율과 관계된 산란의 기여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비저항의 비 (ρ295K/ρ75K)의 약간의 감소는 또한 Nb원자의 석출 때문이다. 500˚C의 어닐링온도에서 Cu-Nb 미세복합재료의 전도도 중가는 Nb필라멘트의 조대화와 구형화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