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the increasing interest in noticing by second language (L2) learners during the output process,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hild L2 learners’ noticing and output. Thu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at child L2 learners of different English proficiency levels noticed as they composed a text and received written corrective feedback (WCF) (error correction vs. models), and how they incorporated the noticed features into their revised texts. Data were collected from twenty-six child pairs throughout three stages (composition, comparison, and revision stages) and note-taking was employed as a means of measuring learner noticing. It was found that learners were able to initiate noticing on their own when composing texts, and that highproficiency learners tended to attend to grammatical problems more frequently than medium/low-proficiency learners. WCF played a facilitative role in leading learners to notice, and their attention to language was mediated differently by different types of WCF. Learners incorporated the noticed features into their revisions, and textual revisions were mostly lexical. Error correction (EC) triggered more grammatical revisions, while the model text helped learners to notice something beyond what they could produce on their own. These findings suggest a facilitative role for output and WCF as a means of learner noticing, and the different roles of EC and model texts.
        6,100원
        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복되는 아동 성폭력 범죄에 대한 강경대응 정책에도 불구하고 성폭력 전과자에 의한 재범이 계속 발생하고 있어 기존 지역사회 교정 및 범죄자 감독·처우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 안전 (public safety)과 범죄자 치료(offender treatment)라는 교정의 두 가지 목적을 새롭게 조명하면서 상이한 특징을 갖고 있는 두 교정모델을 소개하고 지역사회에서 두 모델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 글은 먼저 성폭력범 죄자에 대한 지도․감독 틀로써 “지역사회 보호"(community protection)모델과 "공중보건”(public health)모델 두 가지를 설명한다. 그리고 위치추적 전자감시 제도 이전과 이후의 성폭력범죄자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강제적으로 모든 가석방 성폭력범죄자에게 위치추적 전자감시제도가 부과됨으로써 어떤 범죄자 특성 변화가 초래되었는지 간략히 살펴본다. 즉, 지역사회 보호모델의 하나로 여겨지는 전자감시제도가 2008년 9월 1일 이후 의무적으로 부과됨으로써 가석방 선별 단계에서 실제 더 고위험의 성범죄자가 프로그램 대상자로 선정되었는지, 혹은 비공식적 기제를 통해 위험하지 않은 특정 범죄자에게도 전자감시가 부과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초래되었는지, 위치추적 대상자의 기본 특징을 살펴 교정모델 적용 필요성을 새롭게 고찰해보는 것이다. 빈도분석 결과, 전자감시 이후 성폭력범죄자가 연령, 교육수준, 범죄경력, 혼인 면에서 전자감시 이전 성 폭력범죄자와 구분되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 모델의 우위를 단순비교하기 보다는 사회보호 모델 이외에도 공중보건 모델 적용 필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보호 모델에 속하는 전자감시 제도가 간접적으로 어떠한 범죄자 특성을 초래했는지 살펴보고 향후 지역사회 교정모델이 성폭력 범죄자 보호관찰에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 그 방향을 검토한다.
        7,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