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비자가 경험재인 웹소설을 선택하는 상황에서 사실적 메시지와 평가적 메시지를 담은 온라인 리뷰를 보았을 때 더 유용하다고 판단하는 리뷰가 무엇인지 탐색하고, 이러한 유용성 평가의 차이에 대한 개인의 분석적 의사결정 성향 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경험재를 구매하기 전 객관적 정보를 수집하는 소비 자의 성향에 근거하여 웹소설의 소비자는 사실적인 온라인 리뷰의 유용성을 더 높이 평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 한 인지적 성향에 따라 구분되는 의사결정 유형 중 분석적 의사결정자는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논리적인 판단을 내린다. 따라서 분석적 의사결정 성향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사실적인 온라인 리뷰의 유용성 평가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험 1의 결과 사실적인 리뷰를 제시받은 집단이 평가적인 리뷰를 제시받은 집단보다 리뷰의 유용성을 높이 평가하였으며, 실제 웹소설 선택 상황과 유사하게 두 유형의 리뷰를 동시에 제시한 실험 2에서도 리뷰의 유용 성 평가에 대한 리뷰 메시지 유형의 주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 2에서는 분석적 의사결정 성향 수준이 높아짐 에 따라 사실적인 리뷰의 유용성을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드러나 분석적 의사결정 성향 수준의 조절적 역할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는 경험재인 웹소설을 선택하는 상황에서 리뷰 메시지 유형 및 소비자의 분석적 의사결정 성향 수준 이 소비자의 리뷰 유용성 평가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웹소설 소비자의 행동 양식을 밝혔다는 이론 적,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investigates Australian consumers’ decision-making styles for everyday products. The CSI is based on preliminary work done by Sproles (1983), in which he argued that there are certain fundamental styles that all consumers apply to their shopping and buying. These styles included brand, price, or quality consciousness and provided a conceptual framework for describing consumer decision making styles. Consumers’ decision-making styles influence how they negotiate their way through the decision-making process, i.e., how they approach information search, evaluation and selection, and purchase behaviour (Durvasula et al., 1996). The characteristics of decision-making styles can be effective in profiling an individual’s consumer style in terms of their product evaluation and selection process (Canabal, 2002). The CSI, however, has some limitations. First, previous studies using the CSI have mostly focused on non-specific product types (Durvasula et al., 1996; Leo et al., 2005). Secondly, most of the research using the CSI has focused on student samples (Fan & Xiao, 1998; Hafstrom et al., 1992; Shim, 1996; Sproles, 1983) that have limited income and marketplace experience, and are still learning their consumer styles. In the light of above limitations, this research is developed focusing on specific products (e.g., confectionary) and distributing the CSI within heterogeneous sample. Based on a sample of 229 respondents, a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dopted to validate Sproles and Kendall’s (1986) Consumer Styles Inventory (CSI). Results found that six decision-making styles: ‘perfectionist, high quality’, ‘confused by overchoice’, ‘impulsive’, ‘habitual/brand loyal’, ‘novelty/fashion’, and ‘recreation conscious’ were retained from the original Sproles and Kendall’s (1986) CSI and one decision-making style such as ‘rational, price conscious’ was developed for Australian consumers. Results also found that 24 items were removed from the original CSI for better fit and ‘brand conscious’ decision-making style showed less than satisfactory reliability indicated that the original CSI inventory needed modification when being applied to Australian consum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s extended the literature by determining the applicability and the generalizability of the CSI in context of everyday products which is yet to be known in relation to Australian consu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