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물푸레나무 수피 추출물은 주요 생활성 물질로서 esculetin과 esculin을 포함하고 있다. 이 가운데,Esculetin은 B16F10 melanoma cells에서 IC50 value 2.8 μM의 아주 좋은 melanogenesis 억제 활성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Melan-A cell에서 melanin 합성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esculetin은 mushroom tyrosinase에서도 IC50 value 40 μM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melanin biosynthesis를 저해한다. 위의 결과들로서, 우리는melanogenic enzyme 활성 조절에 의해 melanin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적인 피부미백 물질로서 esculetin을제안하고자 한다.
        2.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백제를 선발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현재의 방법은 in vitro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및 항산화능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 단계인 멜라노사이트에서의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한다. 세포 내의 멜라닌 생성량 측정법은 시간, 인력 및 숙련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초기 선발 방법의 신뢰성이 중요하다. 200개 중국시료 중 측정범위 내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34개를 대상으로 세포 내 멜라닌량,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항산화능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직선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 결과는 현재 선발방법의 한계 및 새로운 방법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3.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멜라닌은 UV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인종과 피부색을 결정하는 요인이다. 또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개발의 주요 목표물이기도 하다. 최근 미와 관련된 화장품 시장이 급성장 하면서 미백효능 증대를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보다 안전하고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미백 기성화장품의 개발은 관심업계의 주력 분야이다. 또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속적인 특허 출원이 따르고 있다. 특허는 관련업계의 연구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문헌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미백 기능성화장품과 관련된 특허 분석을 통하여 관련 업계의 미백연구기술의 개발 동향을 소개하고 미백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 및 활성성분의 원료개발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