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coating layer containing alginic acid on the surface of a magnesium alloy to be used as a biomaterial. We formed a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a magnesium alloy using a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process in an electrolytic solution with different amounts of alginic acid (0 g/L ~ 8 g/L). The surface morphology of all samples was observed, and craters and nodules typical of the PEO process were forme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ample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became thicker as the alginic acid concentration in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and hardness of the sample significantly increase with increasing alginic acid concentration. The porosity of the surface and cross section tended to decrease as the alginic acid concentration increased. The XRD patterns of all samples revealed the formation of MgO, Mg2SiO4, and MgF2 complex phases. Polarization tests were conducted in a Stimulate Body Fluid solution similar to the body's plasma. We found that a high amount of alginic acid concentration in the electrolyte improved the degree of corrosion resistance of the coating layer.
        4,000원
        2.
        1999.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전해질로 주로 사용되는 8mol.%Y2O3-ZrO2는 전기 전도성은 우수하나 기계적 특성이 좋지 못하므로, 전기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이 동시에 우수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전해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수행되어졌다. 단위전지의 공기극 재료인 LSM(La(sub)0.75Sr(sub)0.25MnO3) 기판과 Si wafer를 기판으로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3mol.%의 YSZ(3-YSZ)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8mol.%의 YSZ(8-YSZ)를 각각 단층 및 다층 박막의 네 가지 형태로 전자빔 코팅에 의해 전해질 막을 제작하였다. 박막층의 분석결과, 결정조직은 증착된 3-YSZ 박막의 정방정 및 일부 단사정 구조, 8-YSZ 박막은 입방정 구조의 결정성이 나타났다. 단층막 보다 다층막이 낮은 내부 응력을 보였으며, 다층막이 기존의 8-YSZ 단층막의 열처리 전, 후와 비슷한 미세 경도 값을 보였다.
        4,000원
        3.
        199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lyme coating 종자의 환경적응성을 구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콩 종자에 10종의 polymer를 coating하여 각 coating polymer별 conductivity, 발아력, 수분흡수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onductivity는 polymer coating한 종자가 coating하지 않은 종자보다 높았으며, 가장 높았던 polymer는 waterlock이었다. 2. Conductivity는 침종 후 시간이 경과할 수록 높아졌고, 100립중이 무거울 수록 높았다. 3. 수확년도가 오래된 종자의 conductivity가 당년에 수확한 종자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4. 수분흡수 정도는 coating polymer에 따라 각각 달랐는데 daran 8600은 질이 떨어지는 종자에서는 수분흡수를 크게 저 해하였다. 5. Coating polymer 중 waterlock, captan, klucel, sacrust 등은 발아율을 상승시켰고, daran 8600은 발아율을 저하시켰으며 나머지 polymer는 품종에 따라 각각 달랐고 그 정도는 질이 떨어지는 종자에서 훨씬 컸다. 6. Polymer의 특성에 따라 수분흡수를 저해하거나 조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