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목적은 성인 지적장애인들의 수영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거주하고 있는 성인 지적장애인 12명이며, 수영 프로그램에 12주간 참여하였다. 이에 따라 대상자들의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 관련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자아효능감 평가는 전반적 자아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일반적, 사회적 신체적 자아효능감을 평가하였다. 운동 몰입 평가는 스포츠 몰입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의 수준을 평가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는 건강관련 삶의 질 척도를 활용하여 전반적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수준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들은 수영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수영 프로그램의 참여는 성인 지적장 애인들의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서, 성인 지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수영 프로그램의 적용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4,200원
        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roup exercise program on health conditions and quality of life in cerebral palsy. Adults with cerebral palsy in their 20’s who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of measurement tools prior to and following the experiment. The control group was engaged in manual exercise for the range of joint movement and extension exercise for arms, legs and trunk, and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group exercise program including boccia exercise. The health condi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intervention (.05<). There was a slight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health condi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two groups, the valu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xercise programs for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in the twenties are considered as benefi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health conditions and quality of life.
        4,000원
        3.
        2018.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방기공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들의 재미요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한방기공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들의 인구통계학적인 내용에 따라 연령, 학력, 운동경력에 따른 두 변인과의 영향력을 분석하였고, 준거변인인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예언변인인 재미요인에 관계는 어떠한 관계로 형성되어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는 한방기공운동의 재미요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실질적인 효과를 규명하였으며, 한방기공운동이 여성노인운동의 긍정적인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4,300원
        4.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derstanding awareness and wearing behavior of functional textiles for silver generat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lothing products development to improve and maintain their health and marketing strategy fit for user characteristics. For empirical research, a survey was developed and the aged 50 and above were 332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for both comfort-oriented and health/safetyoriented functional fabrics in high health-conscious group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low health-conscious group. In number of wearing times, health body and high-conscious group wear comfort-oriented fabrics more frequently, while weak body group wear health/safety-oriented fabrics more often. The health-consciousnes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ossession of active sportswear with various functions. Second, the awareness of functional fabrics in exercise activities groups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exercise-conscious groups. High exercise activities group know more about the wet sensation-related fabrics and clothing materials for outdoor activities. Low exerciseconscious group put on health/comfort-oriented fabrics for casuals more frequent than functional fabrics for sportswear. High exercise activities group preferred to wear sportswear suitable for outdoor activities. The aged people have a lot of health/comfort-oriented functional casual wear appropriate for indoor activities regardless of exerciseconsciousness. However, the more they enjoy exercise activities the more they are interested in functional sportswear. Even though they were unconcerned with exercise, older people are interested in functional casual clothes. As a conclusion, the high interest in health and exuberant activities in silver generation arose the necessity of new multi-functional clothing products.
        4,800원
        5.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의 지표인 참여여부,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생활체육 참여 정도,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설문조사에 참여한 만 65세 이상 남녀 노인 16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고, 생활체육 참여여부에 따른 세 심리적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 차이 검증을 수행하는 한편,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한 10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생활체육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세 심리적 변인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경로분석을 수행하여 연구모형과 두 가지 대안모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여 연구모형의 적절성을 확인한 후, 가정한 변인 간관계가 유의한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래핑을 수행하여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삶 만족 사이에서의 주관적 건강과 노화태도의 매개효과와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노화태도 사이에서의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주관적 건강 수준은 생활체육 참여 노인이 생활체육 비참여 노인보다 더 좋았지만, 노화태도와 삶 만족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경우, 생활체육에 참여한 기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 수준이 더 좋고, 노화태도가 더 긍정적이고, 전반적인 삶 만족도가 더 높았지만, 생활체육 참여빈도와 참여시간은 세 종속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둘째, 가정한 연구모형이 대안모형에 비해 더 적절하였으며, 각 변인의 관계는 가정과 일치하였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노화태도의 사이에서 주관적 건강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삶 만족의 사이에서 주관적 건강과 노화태도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생활체육 참여기간,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6.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xercise imagery,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adults. Methods: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initially distributed to college students, company employees and sports center members(male: 273, female: 194, Mage=39.21). Among them, total 467 were finally used in this study. Exercise imagery scale, weekly leisure-time exercise questionnaire and short-form health survey-36 were revised into Korean and applied in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arried out to test the possible relationship among exercise imagery,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ll analyses were conducted by SPSS 18.0 and AMOS 18.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 among exercise imagery,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adults. In specific, exercise imagery and physical activity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vitality which was sub-factor of psychologic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dditionally, exercise imagery was significant factor to physical health-related quality and physical activity. The finding ultimately revealed that a hypothesized research model showed the significant model fit after modification. But it was showed the difference with sex.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gni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exercise imagery could be significant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 it was existed the difference with sex, there will be necessary another studies which is concerned about various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