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stagram usage time (short, long) and spending on fashion products (light, heavy) 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products promoted by an influencer. The moderating effect of influencer type (mega, macro, micro) was also investigated. A total of 515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nalyz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wo-way ANOVA were conducted.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usage time, both short and long, had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attitude. Also, the interactive effects of usage time and influencer type on product attitude were found. Consumers with short Instagram usage time displayed the highest attitude toward products promoted by a macro-influencer whereas consumers with long Instagram usage time displayed the highest attitude toward products promoted by a micro-influencer. Second, usage time and influencer type did not show interac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Third, both categoriacl variables of users’ spending on fashion products had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attitude. Fourth, the interaction effects of spending on fashion products and influencer types on purchase intention were found. The group of light buyers showed the highest purchase intention on products promoted by the macro-influencer while the group of heavy buyers showed the highest purchase intention of products promoted by the micro-influencer.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디지털혁명이 세상을 주도하는 기업 환경에서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과 전략연구는 산업혁명 이후에 끊임 없이 제기되어왔다. 디지털 시대에는 인류 문명의 발전적 도약이 시장의 통찰력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새롭게 진화하고 있다. 마켓 4.0시대에 변화된 환경에 맞는 마케팅 전략은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지인 간의 상호작용과 콘텐츠 생산 및 소비의 순환 서클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구조로 가고 있다. 이에 SNS 뉴미디어를 통한 혁신적인 마케팅이 대두되고 있는데 그 중심에 서 있는 부류가 바로 소셜 인플루언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수직적인 마케팅이 아니라 수평적인 마케팅을 통해 소셜 미디어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고, 소셜 마케팅의 새로운 주역이 된 인플루언서 마케팅 영역에 대한 필요성을 고찰하고 근간에 대한 이론적 요소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실제 소셜 인플루언서 활동에 대한 분석, 그리고 평가와 전략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그에 적합한 평가 도구를 제시하였다. 앞으로 인플루언서 평가 도구 활용을 통하여 SNS에 기반한 바람직한 콘텐츠의 전파가 기업과 개인에게 새로운 마케팅 강화 전략으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