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심리 요인으로 일중독과 직무탈진의 관 계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일 의미감이 조절 변수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이 일중독과 직무탈진이라는 심리적 상태에서 어떻게 촉진되는지를 확인하 고, 특히 일 의미감이라는 긍정 심리 요인이 이러한 과정에서 보일 수 있는 부정적 효과에 주목하였다. 625명의 한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중독은 직무탈진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수로 나타 났고, 직무탈진은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일 의미감은 직무탈 진과 비윤리적 친조직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일 의미감이 높은 경우 직무탈진이 비윤리적 행동을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높은 일 의미감을 가진 직원들이 자신의 업무와 조직의 목표를 중요하게 여기면서도, 조직을 위한 행동을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윤리적 기 준을 타협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한계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 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methods for companies to contribute to not only social and national developments, but also on the promotion of individuals and companies by re-examining the various phenomena that define companies.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 factors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job performances as well as the role of CEOs in showing authentic leadership and meaningfulness of work. A total of 312 vali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and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3-way interac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not only enhanced the performance of the members, but also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CEO. Additionally, the role of the members in the company also showed to play a very significant role in a company’s development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CEO and members need to make efforts to increase ethics as well as gain more competitiveness and improve their reputation by promoting their sense of calling and feeling of compassion in the workplace. In other words, the members of the high-ranking book and the members of the relatively low position will have different degrees of information transfer and evaluation of the company policy may be diffe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