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왕거저리는 주로 애완동물의 먹이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형어, 파충류, 양서류, 조류의 주식 및 간식으로 활용하기도 하며 낚시 미끼로 일부 이용되고 있는 거저리류다. 아메리카왕거저리를 대량 사육하기 위해 성충의 산란율 증가와 균일한 유충을 확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성충의 산란격리틀을 이동시켜줌으로써 유충 단계가 혼재되어 선발하는데 노동력을 줄이며 높은 수확량과 균일한 유충을 확보하기 위해 5일, 10일, 15일 간격으로 성충을 산란틀로 옮겼을 때 5일 간격으로 성충을 옮기는 처리에서 총부화유충수 7,256마리로 10일이나 15일의 5,439마리, 2,060마리보다 더 많은 유충수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5일과 10일간격으로 산란을 시킬 때 80일째에 유충무게에 대한 변이계수(CV)는 각각 10.08, 10.28로 유충의 무게가 비교적 일률적이지만 15일 간격에서 변이계수는 24.84로 5일과 10일 간격보다 높아 유충이 일률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아메리카왕거저리 성충을 5일 간격으로 산란틀을 옮기면서 산란을 9회 시키면 7,000마리 이상의 유충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때 한 마리당 무게는 0.68g 확보가 가능하였다.
In many host-parasite interactions, intraspecific competition among host could have a significant role to the host-parasite population dynamics, yet so far a few studies has been reported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ex. Umbanhowar and Hastings, 2002). We examined the effect of larval competition using a stage-structured matrix model with parameters estimated from the Plodia interpunctella-Bracon hebetor and Sitophilus zeamais-Aniopteromalus calandrae experimental system.
The maize weevil population showed a typical growth pattern of populations with contest type competition. After introduction of A. calandrae to the system, maize weevil population was dramatically decreased to be extinct. In contrast, the Indian meal moth population showed a typical pattern of scramble type competition. Introduction of B. hebetor to the system induced higher moth density and longer persistence of the Indian meal moth population than that in the maize weevil system. These results seem to be caused by differences in intraspecific competition between Indian meal moth and maize weevil. The applications of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in biological control of Indian meal moth.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parasitized by its endoparasitoid Cotesia plutellae undergoes various physiological alterations which involves immunosuppression and developmental arrest. Its symbiotic virus, C. plutellae bracovirus (CpBV) is highly essential for their successful parasitization which possesses more than 136 genes encoded. CpBV15βunique in CpBV genome is expressed at low levels in early and at higher levels during late parasitization period. This gene product alters the hemocyte-spreading behavior through inhibition of protein synthesis under in vitro conditions. In the current study, we investigated its specific involvement in physiological functions in the host by transient expression and RNA interference techniques. The open reading frame of CpBV15βwas cloned into a eukaryotic expression vector and this recombinant CpBV15β was transfected into healthy non-parasitized 3rd instar P. xylostella by microinjection. CpBV15βwas expressed as early as 24 h and was consistent up to 72 h. Due to the expression of this gene, the hemolymph storage protein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ability of the hemocytes to adhere and spread on extracellular matrix was altered or reduced, wherein CpBV15βwas detectable in the cytoplasm of hemocytes based on indirect immunofluorescence assay. To confirm the role of CpBV15β, its double stranded RNA could efficiently recover the functional efficacy of hemocytes towards non-self and synthesis of storage proteins. Thus these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e role of CpBV15βin altering the host physiology by involving in cellular immune response and host protein synthesis.
1973년부터 1976년까지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포장에서 수집된 성적(成績)을 분석(分析), 이화명나방유충(幼蟲)의 공간분포특성(空間分布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유충(幼蟲)의 공간분포(空間分布)는 세대(世代)에 차이(差異)없이 부(負)의 이항분포(二項分布)를 따르고 있었다. 집중계수(集中係數)(Green's coefficient of dirpersion)를 지표로 하였을때 유충(幼蟲)의 집중도(集中度)는 초기고집중기(初期高集中期), 과도기(過渡期), 저집중안정기(低集中安定期)의 3 단계로 진전됨이 판명되었으며 이중 과도기(過渡期)를 제외(除外)한 각(各)단계는 각세대(各世代)에서 공통(共通) 'k'에 의해 집중도(集中度)를 정의할 수 있었다. 집중도(集中度)의 단계적 변화의 원인(原因)으로 유충(幼蟲)의 주간이동(株間移動)이 판명(判明)되었으며 제1세대에서 3령유충(齡幼蟲) 제2세대에서 5령유충(齡幼蟲)이 분산(分散)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충집중도(幼蟲集中度)에 있어서의 이러한 특징(特徵)은 제2세대에서 뚜렷하였으며 제1세대의 경우 해(년(年))에 따른 변이폭이 컸다. 이는 제1세대 유충(幼蟲)의 생명계(生命系)(Life system)가 제2세대의 그것에 비해 외적(外的) 환경요인(環境要因)의 변이에 따라 크게 영향받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Day-Degree 개념에 따른 환경변이의 수렴이 검토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