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based on cultural memory theory, examines how the digital game Black Myth: Wukong reconstructs and perpetuates cultural memory by integrating classic narratives with interactive storytelling. It first elucidates the core concepts of cultural memory, analyzing how Journey to the West serves as a cultural stabilizer. Through Sun Wukong’s rebellious spirit and adventure-driven narrative, it engraves Chinese cultural values deeply within collective memory. Next, an interactive storytelling perspective is introduced, highlighting how new media transform audiences from passive recipients to co-creators of cultural memory through immersion and engagement. Taking Black Myth: Wukong as a case study, this paper deconstructs its multilayered narrative structure and the modern reimagining of cultural symbols, such as the “six senses,” to demonstrate how the game endows the classic text with renewed cultural significance. Finally, it examines the game’s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market performance to argue the complementarity between interactive storytelling and classic narratives, revealing the potential of digital media to drive cultural memory’s transmission and innovation, offering a new perspective for future cultural dissemination.
본 연구는 주관적 안녕감이 긍정적인 사건을 인식하는 비율과 나아가 기억을 재구성하는 인지적 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199명의 학부생들이 일상적으로 일어날법한 긍정적인 사건과 부정적인 사건 40개를 기술한 문장들을 본 후 이에 대한 회상 과제와 재인 과제를 수행하였다. 먼저 사건을 기술한 문장을 본 후 긍정적인 사건과 부정적인 사건에 대한 비율을 응답하게 한 결과,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참가자들이 긍정적인 문장의 비율이 월등히 높은 조건에서 긍정적인 사건의 비율을 실제보다 더 높게 보고하였으며, 또한 긍정적인 비율이 높은 조건에서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참가자들은 긍정적인 문장을 더 많이 회상했다. 참가자들이 처음 보고한 긍정적인 사건의 비율과 실제 회상한 기억들 중 긍정적인 사건의 비율은 정적인 상관을 가졌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재인 과제에서는 참가자들은 주관적 안녕감 수준에 따라 유의미하게 차이나는 오류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이론적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