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tto, one of Japanese traditional food is made from steamed whole soybeans fermented with Bacillus natto.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Natto mucilage- feeding on griwth, organ weight and serum nitrogen compounds of rats were investigated. Male rats in Sprague-Dawley strain were fed on basal diets supplemented with aqueous Natto mucilage of several percentages for 10 weeks. Natto mucilage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body and organ weights. The levels of GOT, GPT, LDH. and total bilirubin in serum of rats fed Natto mucilage die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 The levels of total protein and albumin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level of calcium in serum indicates a growing tendency. but creatinine, uric acid, and BUN had declining. And the most component of free am1no acids in Natto mucilage were glutamin acid.
        4,000원
        3.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tto is a Japanese traditional food made from whole soybeans by the fermentation of Bacillus nat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tto mucilage on lipid metabolism in rats.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serum of rats fed Natto mucilage diets were lower than those in control rats, but serum HDL-cholesterol and phospholipid were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rats. The results indicate that Natto mucilage may have more beneficial roles in lipid metablism because it decreased serum cholesterol and increased bilirubin excretion.
        4,000원
        4.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순채 점액질 다당체의 인체 피부와 in vitro에서의 피부 보습효과를 확인하고 화장품 원료로서 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다양한 환경적 스트레스와 노화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수분 보유량을 증가시키고 수분의 손실을 예방해야 한다. 본 연구진은 순채의 점액질로부터 추출한 다당체를 인체 피부에 도포했을 때, 특이적인 윤활성으로 피부에서의 거칠기(roughness)를 개선시켰다는 것을 확인했다. In vitro에서 각질형성세포에 순채 점액질 다당체를 처리했을 때, 피부장벽의 가교 역할을 하는 transglutaminase 1 (TGM1)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물과 글리세롤의 이동을 조절하는 막관통 단백질 aquaporin 3 (AQP3)와 수분 보유 기질 히알루론산을 합성하는 효소인 hyaluronan synthase 3 (HAS3) 유전 자의 발현 또한 증가함을 확인했다. 추가적으로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에서, 항염증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순채의 점액질 다당체는 기존에 없는 새로운 천연 원료로서, 피부 에 보습 효과와 항염증, 콜라겐 합성 촉진 효능이 있음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