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cuphantes catillus n. sp., a new species of the genus Arcuphantes Chamberlin and Ivie, 1943 is described from Korea. The present species is distinguishable from its known similar congeners by a conspicuous proximal process and a blunt lateral process of the paracymbium, feathery tipped lamellar extension of the pseudolamella, and bowl-like posterior part of radix. The present new species was collected from the leaf litter layer of mixed forest on a hillock around rice fields with a pitfall trap.
        3,000원
        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에서는 북부 터키에서 Paranemastoma속의 통거미 1신종을 기재하였다. 본 종Paranemastoma karolianus의 다리, 등면 표피 및 생식 기의 미세구조를 제시하였다. 본 신종과 유사종과의 구별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4,000원
        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new species, Hatchiana n. sp., is confirmed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The genus Hatchiana Fender, 1966 belonging to Podabrini LeConte, 1881 is distinguished by the shape of tarsal claws: all tarsal claws with blunt tooth in both sexes. The genus was recognized as a subgenus of Podabrus Westwood, 1838. Recently, however, Hatchiana was suggested as separated genus. The genus Hatchiana was known as 12 species in Palaeartic region including three species from Korea. In this study, we found Hatchiana n. sp. from several areas of Taean-gun, Chungcheongnam-do, Korea. This new species is different from closely relative species, Hatchiana jirisanensis (Kang & Kim, 2000) by following morphological characters: size of compound eye, length of antennae, shape of pronotum, shape of scutellum, and shape of aedeagus. Also, we compare the DNA barcoding region (the former region of CO1 gene) between these two species as molecular characters. In result, Hatchiana n. sp. is distinct from Hatchiana jirisanensis Kang & Kim by discrepancy of three percents in CO1 sequence. Therefore, the Korean Hatchiana is confirmed as four species, adding Hatchiana n. sp.
        9.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biquinone-10생성 광합성 세균을 선정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대구 근교의 강, 논, 호수 등의 수계혐기층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거나 유기 폐수 중에서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총 50점의 시료에서 130주의 광합성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이 중에서 ubiquinone-10의 생성이 가장 많은 균주번호 N-2를 최종 선정하였다. 선정된 균주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규명한 결과 Rhodobacter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이 균주는 이와 동일한 균주이거나 유사한 근연의 균으로 판단하여 본 분리균주 N-2를 Rhodobacter sp. N-2로 명명하였다. 본 균주는 anaerobic light로 배양할 때가 aerobic dark일 때보다 훨신 생육이 양호하였다. 분리균 N-2의 growth factor는 biotin, thiamin, niacin중 하나이며, 3가지를 동시에 첨가하였을 때 완전한 생육을 나타낸다. 유황화합물 H_2S를 첨가하였을 때 매우 적은 농도에서 본 균주의 성장이 저해되었다.
        4,000원
        10.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무좀인 Orthotomicus angulatus에서 천적기생선충인 Parasitylenchus orthotomici가 신종으로 기술되었으며, 적송에서 채집된 170마리의 표본에서 51.8%가 선충에 기생되어 있었다. 한 마리의 나무좀에서 발견된 선충수는 1~97마리였다. TEXF1/TEX세대의 기생율도 43.2%~52%로 높았으며 양지쪽과 음지쪽의 서식나무간좀에는 기생율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