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로변 투명 방음벽은 소음 저감 효과뿐만 아니라 경관 개선이라는 관점에서 널리 설치되고 있으나, 높은 반사율과 투명도로 인해 야생조류 충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전역을 대상으로 조류 충돌 현황을 파악하고, 충돌 위험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규명하여 투명 방음벽의 조류충돌 저감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000년부터 2023년까지 현장 조사, 비영리 단체 자원봉사, 시민과학 자료를 통해 총 3,638건(74 종 3,686개체)의 충돌 정보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멧비둘기, 물까치, 직박구리 등 텃새가 주요 충돌 종으로 나타났으며, 계절별로는 겨울철이 가장 많았다. 방음벽 주변 토지피복은 충돌 여부와 무관하게 80m 이내 구간에서 시가화 건조지역과 초지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종분포 모델(MaxEnt) 분석 결과, 다양한 요인 중 산림과의 거리가 가장 큰 연관성을 보였으며, 산림-농업, 산림-도시 등 생태계 경계부의 저지대에서 충돌 위험이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UC=0.921). 이 결과는 투명 방음벽의 충돌 위험이 방음벽의 구조적 특징뿐만 아니라 주변 공간구조와 지형적 특성과 밀접하게 연관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신규 방음벽 설치 시 방음벽의 조류충돌 저감 설계 반영과 함께, 시민과학 참여를 통한 지속적 모니터링 등을 통한 위험지역 도출과 고위험지역에 대한 우선 저감 조치가 필요하다.
        4,500원
        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performs material nonlinear analysis of connection parts at noise barriers, which have a light weight. Subsequent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for three types of models (standard, double, and standard models strengthen by ribs) present that the applied connections for target noise barriers constructed show suitable structural performance. In this paper, the existing finite element 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the ABAQUS program is further extended to study the plastic stress distribution of the noise barriers. The numerical results for various parameters are verified by comparing different steel types with stresses occurred in the noise barrier from the numerical simulation.
        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is to compare sound transmission loss(STL) value depending on the four kinds of materials,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athacrylate), PE(Polyethlyene), PP(Polypropylene), and two types of structure, single layer and double with vacuum layer, of soundproof panel. METHODS : With four sorts of polymer material, the specimens were made as various structures, 4 mm and 8 mm of single soundpoof panel and vacuum layered 4 mm of one. The experimental condition and procedures were complied with authorized process test, KS F 2808. RESULTS: STL of single panel made of PC were the greatest followed by PMMA, PE, PP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panel, However, STL of PMMA panel began to decrease around 2500 Hz and reached the lowest value among others in 5000 Hz. Vacuum layer soundproof panel showed good performance in more than 2000 Hz. Only vacuum layer panel made of PC presented resonance frequency at 800 Hz while that of other vacuum ones at 1000 Hz. CONCLUSIONS: According to results of single layer, it was found that single panel functioned as the theorical way we expected in terms of surface density. That trends were blurred as the panel got thicker. And it was suggested also that vacuum layer panel performed well at high frequency, more than 2000 Hz.
        4,000원